무상보육 위기는 전업주부가 아니라 정부 책임
〈노동자 연대〉 구독
전면 무상보육을 약속했던 박근혜 정부가 결국 보육 정책을 후퇴시키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내년 7월부터 0~2세 아이들을 둔 비취업모의 보육시설 이용 시간을 하루 6~8시간으로 제한하려고 한다. 박근혜 정부는 취업모의 아이든 비취업모의 아이든 상관 없이 0~5세 영유아라면 최대 12시간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육료를 지급해 왔었다.
이런 후퇴는 이미 박근혜표

가령 박근혜 정부는 2008년에 2조 3천억 원에 그쳤던 보육예산을 2013년에 약 8조 원으로 대폭 늘려 놓고는, 이 대부분을 지방자치단체와 지방교육청에 떠넘겼다. 그 때문에
우파들은 무상보육의 재원 문제가 불거지자 선별적 지원을 해야 한다며 군불을 땠다. 어린이집 아동학대도 무상보육 때문인 양 비난했다.
그러다 마침내 정부는
고약하게도 정부는 무상보육 위기의 책임을 비취업모들에게 돌렸다. 그리고 비취업모와 취업모 간의 갈등을 부추겼다. 정부가 재정 부담 책임을 방기해 생긴 무상보육 위기에 대한 책임을 부당하게 떠넘기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이것은 여성들이 육아 부담 때문에 일을 그만두고 경력 단절을 겪는 현실에 대한 책임 회피이기도 하다. 여전히 여성의 취업을 가로막는 압도적 요인은 육아 부담이다. 그런데 이런 현실을 뒤로한 채 정부가 전업주부들을
취업모를 위하는 것인 양 하지만, 이번 개악은 취업모들의 보육시설 이용률도 낮추는 효과를 낼 것이다. 개악안대로 하면 취업 사실을 증명해야 전일제 보육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런 증명이 어려운 곳에서 일하는 여성들도 상당하다.
누리과정 예산 떠넘기기
정부는 3~5세 대상 무상보육
여기서도 정부는 갈등을 부추겨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 이미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으로 떠넘기는 바람에 초
그러나 반드시 어느 한 쪽이 희생돼야 할 이유는 없다. 재원이 없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재원은 대기업과 부유층에 과세해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한사코 그러려고 하지 않는다. 기업주의 이윤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다.
따라서 여성운동과 노동자 운동은 보육서비스 축소 움직임에 따른 정부와 친사용자 언론들의 이간질 시도에 반대하며, 기업과 부유층에게 증세해 보육서비스의 보편적 질 향상을 이룰 것을 요구해야 한다.
보육 공공성 강화해야
부자 증세를 통해 재원을 확보하는 것뿐 아니라, 보육 지원 방식이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2000년대 동안 한국의 보육서비스 규모와 보육에 대한 정부 지출은 증가했다. 그 결과 2012년 현재 한국의 영유아 74퍼센트가 보육시설이나 유치원을 이용한다. 이는 OECD 다른 국가와 비교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

그러나 한국의 보육서비스는 민간 시장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보육시설은 1990년 1천9백19개에서 2013년 4만 3천7백70개로 크게 늘었지만, 늘어난 보육시설의 대부분은 민간 어린이집과 가정 어린이집이었다. 반면, 2013년 현재 국공립 보육시설 비율은 고작 5퍼센트대로 지난 10년 동안 거의 변함이 없었다. 출산율과 여성의 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보육서비스를 확대하면서도 비용은 가능한 적게 지출하고자 한 정부 입장에서는 이런 시장화 전략이 안성맞춤이었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 정부는 민간 보육시설 설립 요건을 완화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한편, 서비스 이용자에게는 돈을 주고 민간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해 왔다. 이런 방식은 어느 정도 국가의 재정 부담을 증가시키긴 하지만, 국가가 책임지고 공급을 확대하는 방식
노동계급 가정의 처지에서 보면, 국가가 돈으로 보육을 지원하는 방식은 아무런 지원이 없는 것보다는 낫기는 하다. 그러나 보육을 제공하는 주체가 민간
지난 10년간 정부 지원이 늘고,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은 크게 늘었지만 여전히 믿고 맡길 만한 곳이 없다는 불만이 터져나오는 이유다.
박근혜 정부는
이런 이유들 때문에 그동안 여성운동과 노동자 운동은 보육 시장화 정책을 중단하고 국가 책임성을 훨씬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국공립 보육시설 대폭 확충, 자치단체의 시설 직접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