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법 개악 뒷받침 하는 노사정위 전문가그룹
〈노동자 연대〉 구독
11월 3일 새누리당 노동 개악법이 국회 환노위에 자동 회부된다. 여기에는 비정규직법 개악
지난 9
이에 따라 노사정위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전문가 검토 보고서'를 11월 16일까지 마련해 국회로 넘기겠다고 밝혔다. 또, '비정규직 공동실태 조사단'을 꾸리고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그런데 소위 '전문가'들
전문가그룹의 단장인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와 공익위원인 박지순 고려대 교수는 새누리당의 노동시장선진화 특별위원회의 자문위원이다. 총대 메고 노동 개악을 밀어붙이는 여당 기구의 자문위원인 만큼, 주요 쟁점에 관해서도 자본가들의 입장을 충실히 대변해 왔다.

△9월 15일 노사정위 야합 ⓒ〈노동자 연대〉
조준모 교수는
그는 친기업적 입장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도 지지한다. "기본적으로 편향된 노동교육을 받고 오면 아무래도 사용자를 균형성 있게 바라보기보다 '나를 착취하는 대상'으로 보게 된다."
박지순 교수는 "근로자와 사용자 간 신뢰를 쌓을 수 있는 기간이 늘면 정규직 전환도 더 늘어날 것"
노사정위 후속 논의 때 새로 공익위원으로 위촉된 권혁 부산대 교수와 김상호 경상대 교수는 지난 8월 정부가 주최한 '비정규직 관련 입법방향 전문가 토론회'에 참가해 정부보다도 더 큰 폭의 비정규직법 개악을 주문해 논란을 일으켰던 인물들이다.
권혁 교수는 우리 나라의 파견 규제가 유럽에 견줘 너무 엄격하다는 불만을 토로하며, 중장기적으로
김상호 교수도 정부가 내놓은 기간제 사용 연장을 지지하면서, 오히려 사용자가 사용기간 규정을 어긴 경우의 처벌을 완화하는 안을 내놨다.
이런
공익위원 중에는 '개혁파'로 여겨지는 교수도 몇 명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는 생활임금 캠페인을 지지하는 등 비정규직 처우 개선에 관심을 보여 왔다. 그러나 그는 올해 초 정부의 기간제 연장 공격을 사실상 정당화 하기 위해 꼼수를 부린 고용노동부의 설문조사의 책임자이기도 했다.
박근혜는 시정연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