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재정 긴축:
학교비정규직 고용 불안, 임금 차별 해소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박근혜 정부는 교육재정을 긴축하면서 그 대가를 교육 노동자들에게 전가시키려 한다. 그리고 이것은 고용 불안과 차별에 시달려 온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이 계획에 따르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고용을 위협받게 될 것이다. 교육부는 2018년부터 총액인건비 산정 인원을 초과하는 교육청에 패널티를 주겠다고 했다. 현재 교육부가 설정해 놓은 정원이 매우 작기 때문에

게다가 교육부는 기간제 규모를 일정 비율로 제한하는 목표관리제도 시행하겠다고 한다. 무기계약직 정원을 통제하면서 기간제 규모를 줄이면 해고나 외주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금도 심각한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영어회화전문강사
정원 통제로 발생하는 업무 증가의 부담은 고스란히 노동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다. 이미 일부 교육청은 일방적 직종 통합과 강제 전보로 노동강도를 높이려는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직종을 통합하면 노동자 한 사람이 여러 업무를 다루게 되면서 노동강도가 높아진다. 이에 따른 보상이나 교육
반면, 교육부가 처우 개선책으로 내놓은 방안은 보잘것없다. 올해 기본급 인상률
그런데 안타깝게도 여러 진보 교육감들은 정부의 공격에서 노동자들을 방어하는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진보 교육감이 있는 제주에서 영전강이 집단 해고 위기에 놓이고, 서울
물론, 무상보육 예산 떠넘기기를 비롯한 정부의 교육재정 긴축으로 진보 교육감들의 운신의 폭도 좁아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진보 교육감이 정부, 보수 교육감과 차이가 별로 없다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진보 교육감을 지지할 의의를 찾기 어려워질 것이다.
노동자들은 단순히 진보 교육감에 의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동자들은 독립적으로 싸워 진보 교육감들에 압력을 형성해 왔다. 최근 제주 영전강 노동자들이 투쟁을 통해 고용을 지킨 것이 그 한 사례다.
파업을 지지하라
지금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정부의 공격과 교육청들의 책임 회피에 맞서 싸움을 준비하고 있다. 학비연대회의는 올해 정기상여금 1백만 원 쟁취, 차별 철폐, 고용 안정, 교육공무직법 제정 등을 요구하며 투쟁할 계획이다.
우선,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가 4월 1일 파업에 나선다. 총선 국면에서 학교비정규직 이슈를 제기하며 파업하는 것은 여론의 주목을 끌고 정치적 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방안일 수 있다.
교육공무직본부는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6월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새로 개원하는 국회에 교육공무직법을 요구하고, 추경예산에 정기상여금 등 처우개선 요구를 반영시키기 위해서다.
두 계획 모두가 의미가 있다. 이 투쟁이 성공적으로 조직된다면 노동자들의 처우를 지키고 개선하는 데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양 노조가 함께 파업에 돌입한다면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기는 한다.
그동안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파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