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대혁명, 마오주의의 광기인가 노동자 반란인가?
〈노동자 연대〉 구독
경제는 둔화하고 사회양극화가 심화되자, 문화대혁명
어떤 사람들은 문혁에 현 사회의 모순을 해결할 대안이 존재했다고 여긴다. 그들에게 문혁은
1966년 5월 16일 마오쩌둥이 초안을 작성해 당 중앙위원회 명의로 선포한 5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했지만 농업사회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없었다. 1958년 마오쩌둥이 공상적 의지주의에 기대어 대약진운동을 펼쳤지만 5천만 명의 아사라는 끔찍한 결말을 맞이했다. 대약진운동은 중국의 물질적 조건이 자본축적을 지속할 준비가 돼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이를 강제로 밀어붙일 경우 사회적 갈등이 생겨날 수 있음을 보여 줬다. 마오쩌둥은 물질적 토대를 바꾸고 이 목적에 부합하는 상부구조를 주조할 필요성을 느꼈는데, 그 수단이 바로 교육과 문화였다.
마오주의의 광기?
1966년 5
대학에서도 문혁이 시작됐다. 베이징대학의 젊은 철학강사 네위안쯔가 학교 당국을 비판하고 혁명 지식인들에게 전투에 참가할 것을 호소하는 대자보를 썼다. 학교 당국이 대자보를 제거했지만, 1주일 뒤에 마오쩌둥은
네위안쯔의 대자보를 계기로 홍위병 학생들이 권위적인 학교 당국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 젊은 홍위병들이 마오쩌둥의 문혁에서 행동대 구실을 했다.
1966년 8월 중국 공산당 제8기 11중전회에서 16조가 통과됐다. 그 내용은 자본주의 노선을 걷는 당내 실권파를 타도하고 네 가지 구습
마오는 이제 문혁의 퇴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문혁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했을 뿐 아니라 홍위병 운동 내부 또는 홍위병과 공산당 간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당내에 주자파의 전복 음모는 없었고, 류사오치
1966년 11월부터 당 중앙은 홍위병 운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 기울였다. 하지만 문혁이 노동자들에게 전파됐다. 노동자들이 생산을 중단하고 베이징으로 몰려가 낮은 임금과 열악한 작업조건을 성토하며 류사오치에게 그 책임을 물었다. 상하이에서는 부두 노동자, 철도 노동자, 운송 및 발전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였다.
당 중앙은 노동자들이 처한 객관적 조건, 즉 1949년 이후 국가가 주도한 자본 축적이 낳은 결과에 맞서 파업을 벌였다는 사실을 애써 부정했다. 그러면서 주자파들의 선동이 배후라고 몰아갔다. 당 중앙은 노동자에게로 번진 문혁을 재빨리 종결하고 사태를 평정하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민해방군이 유일한 대안이었다. 그런데 북쪽으로는 러시아 군대와, 남쪽으로는 베트남 군대와 대치하고 있고, 미국의 군사훈련에 대비하고 있는 인민해방군을 빼내는 일은 모험이었다. 심지어 일부 반란군은 인민해방군을 공격하기도 했고, 또 일부 인민해방군은 급진적 요구에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1967년 1월 마침내 반란 세력들을 통제하고 시설물을 방어하며 모든 국가 기구들을 장악하라는 지시가 인민해방군에게 내려졌다. 대중 혁명조직 대표, 당 간부, 군대로 구성된 혁명위원회
성무련
1966년 하반기에 노동자 반란들이 등장했고, 그 과정에서 수많은 조직들이 자생적으로 등장했다. 그중 성무련
성무련은 혁명위원회의 삼결합이 이미 패배한 관료들의 복권에 지나지 않는다고 봤다. 따라서 1949년 혁명 이후 17년을 뒤집어엎을 실질적인 혁명은 아직 시작하지도 않았다.
반란들은 더욱 폭력적이고 격렬해졌다. 우한군구 사령관 천자이다오 장군이
1968년 소련 군대가 체코의
문혁은 그 당시 중국의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권력의 두 기둥인 공산당과 인민해방군은 타격을 받지 않았다. 경제는 대약진운동 동안에 겪었던 것과 같은 혼란을 겪지 않았다. 기껏해야 1967년에 수출이 12퍼센트 줄었을 뿐이었다. 다른 주요한 기구들도 타격을 받지 않았고, 과학연구도 마찬가지였다. 중국은 1967년 6월에 여섯 번째 수소폭탄 실험을 했고, 12월에는 일곱 번째 폭탄을 만들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마오쩌둥이 지배하는 중국의 기성 체제가 타격을 입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화대혁명은 진정한 의미의 혁명은 아니었다. 하지만 대중 운동이 당과 인민해방군의 통제에서 벗어나 정말 혁명으로 나아갈 뻔했다.
문혁 당시 반란을 일으킨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이든 정당이든 간에 자신들의 요구를 제기할 어떤 조직도 갖고 있지 않았다. 문혁의 경험은 무장력을 독점하고 훈련된 관료 집단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에 대항할 조직들을 노동자들이 준비해 두지 않으면 승리하기가 힘들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오늘날 저항에 나서는 노동자들은 공산당과 국가 체계와는 독립적인 노동자 정치 조직을 건설해야 한다.
※ 참고문헌
찰리 호어. 《천안문으로 가는 길》, 2006. 책갈피.
모리스 마이스너.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2004. 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