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현대중공업:
중대재해 사망에 항의해 파업을 벌이다

10월 12일 현대중공업에서 또다시 중대재해로 정규직 노동자 한 명이 사망했다. 올해 들어서만 10번째 죽음이다. 재해자는 천장 크레인을 이용해 자재를 옮기던 중 다른 크레인과 부딪히면서 자재와 대차(선로를 따라 움직이는 운반 수레) 사이에 협착돼 숨졌다.

이 사고의 이면에는 현대중공업 사측의 이윤 몰이가 있었다. 현대중공업 노조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회사가 작업을 빨리 하려고 속도를 올리고 규제 장치를 풀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겁니다.” 심지어 이윤에 눈이 먼 사측은 위험천만한 사고 현장을 작업 중지하지 않고 노동자들이 계속 일하도록 시켰다.

외주화도 문제였다. 부딪힌 두 크레인 중 하나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움직이던 것이었다. 외주화는 안전 작업에 필수적인 상호 소통을 방해한다.

더욱이 이번 사고의 원인에는 그간 사측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분사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크레인들의 거리 조절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센서가 작동하지 않았고, 크레인 정지 시 잠겨 있어야 할 브레이크 패드가 열려 있었는데, 이는 평소 크레인 정비가 소홀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었다. 노조 관계자는 “분사 이후에 크레인 안전 관리를 도대체 누가 하는지 알 수가 없다”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노조는 분사가 노동자들의 안전을 위협할 것이라고 줄기차게 경고했다. 크레인 업무가 분사된 첫 날이었던 9월 1일에도 골리앗 크레인 아래에서 작업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한 명이 철골 구조물에 깔려 숨졌다. 이 밖에도 분사 이후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사태가 이런데도 사측은 분사가 중대재해와 아무 상관이 없다며 계속 추진하려고 한다. 게다가 사측은 생산직이 다수 포함된 정규직 4천3백여 명을 구조조정하겠다고 한다. 비정규직 해고도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조정은 노동자들의 노동강도를 높여 안전도 더욱 위협할 수 있다.

사측은 경제 위기의 고통을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기 위해 노동자들의 안전과 생명 따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투쟁의 전진이 필요하다

사측의 계속되는 공격과 중대재해에 노동자들이 분노하고 있다. 중대재해가 일어나자 노동자들은 본관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었다. 예상보다 많은 수백 명이 모여 사측을 규탄했다. 사장을 항의 방문하려는 노조 대표자들을 경비들이 막자 노동자들이 몰아내기도 했다.

이런 노동자들의 분노 속에서 노조는 긴급 쟁대위를 열고 14일과 15일 7시간 파업을 결정했다. 쟁대위에서 많은 지단장들(대의원 대표들)이 ‘10명이나 죽었다. 사장 퇴진 구호만 외칠 것이 아니라 실천을 하자’면서 파업을 주장했다고 한다.

사측의 공격이 계속될 것이고 그만큼 안전에 대한 위협도 커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투쟁이 강화돼야 한다. 사실 많은 노동자들이 그간 분사, 임금 삭감 등의 구조조정 공격에 노조가 더 강하게 싸우길 바랐지만 기대에 못 미쳤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정부가 강력하게 구조조정을 밀어붙이고 있어도 그저 강력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박근혜 최측근들의 비리가 연이어 터지면서 정부는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게다가 철도와 화물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이면서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중공업 노동자들도 강력하게 싸운다면 성과를 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 노조가 사측에게 임금 요구를 일부 양보하겠다고 밝힌 것은 부적절했다. 경제 위기 속에서 고용이라도 지켜야 한다는 동기가 컸겠지만, 대우조선해양의 사례를 봐도 임금 양보가 고용 안정을 보장해 주진 않는다. 대우조선노조는 지난해 임금 동결과 무파업을 받아들였지만 사측은 올해 정규직 감원 계획을 발표했다. 또 임금 양보는 노동자들의 사기를 떨어뜨려 투쟁에도 나쁜 효과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지금 필요한 것은 양보가 아니라 강력한 투쟁이다. 전투적인 활동가들이 이를 강력하게 주장해야 한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투쟁에 동참시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정규직 활동가들이 사내하청지회가 받고 있는 탄압에 앞장 서서 방어하고 사측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공격에 맞서 함께 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