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 송파지부:
우파적 노조 분리에 대응하는 효과적 방법에 대해
〈노동자 연대〉 구독
올해는 공무원노조 설립 15년이 되는 해다. 2002년 전국의 공무원 노동자들은 정부의 모진 탄압을 뚫고 공무원도 노동자라고 외치며 당당히 노동조합을 결성했다. 그러나 공무원 노동자들은 15년 동안 노동자로서 기본적인 권리를 온전히 인정받지 못했다. 노동조합 설립신고 쟁취

그런데 지난해 말 공무원노조 송파지부에서 조합원 1천여 명 중 20여 명이 노조를 탈퇴해
또,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은 현장 노동자들의 저항과 투쟁에 달려 있다. 2015년 공무원연금 개악 때 정부는 법외 노조인 공무원노조를
송파구노조는 공무원노조가 해고된 조합원들의 생계 지원을 위해 조합비를 많이 걷는다고 비난하는데, 부당한 비난이다. 해고자들은 공무원노조 투쟁 과정에서 국가의 탄압으로 해고된 동료들이다. 노조가 이들에게 생계비를 지원하는 것은 정당한 일이다.
그런데 공무원노조 송파지부 집행부가
송파지부 집행부는 송파구노조의 주장에 조합원들이 동요할 것을 우려한 듯하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실용주의적 대응으로는 동요하는 일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설득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오히려 지부 집행부가 공무원노조 인정과 해직자 복직 요구를 걸고 일관되게 싸울지 의구심을 가질 것이다.
송파지부 집행부는 이런 점들을 잘 고려해 지금이라도 별도의 법내 노조 설립을 철회하고 공무원노조의 노조 합법화 투쟁에 복무하길 바란다.
박근혜 퇴진 운동에 자극받아 자신감이 살아나기 시작한 조합원들의 정서를 잘 살펴 전진의 기회로 삼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