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퀴어퍼레이드:
5만 명이 차별 철폐에 “나중은 없다”고 외치다
〈노동자 연대〉 구독
7월 15일 성소수자들의
행사 도중에 비가 쏟아졌지만 참가자들은 개의치 않고 축제를 즐겼다. 비를 온몸으로 맞으며 행사를 즐기는 젊은이들도 있었다. 부스 행사가 시작되는 오전 11시부터 시청 광장이 붐빌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다. 해방감과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오늘 하루를 최대한 오랫동안 즐기고 싶은 마음이었으리라.

참가자들의 압도 다수는 20~30대였다. 친구들과 삼삼오오 함께 온 사람들, 연인과 손 잡고 참가한 사람들이 많았다. 드물지만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가한 사람들도 눈에 띄었다. 이들의 표정은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서울부터 부산까지 전국의 성소수자 모임들이 총출동했다. 성소수자 모임들뿐 아니라 다양한 단체들이 참가했다. 정의당
올해 큐브
전반적으로 진보
지난해 요란하게 맞불 집회를 벌였던 기독교 우익들은 올해는 다소 초라한 모습이었다. 앰프만 컸지 동원규모는 줄었다. 퀴어퍼레이드의 큰 규모와 퍼레이드를 지켜보는 사람들의 우호적 태도에 압도돼 기를 펴기 힘들어 보였다. 박근혜 정권이 중도 퇴진하면서 우익이 위축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덕분에 참가자들은 무대와 부스에 잘 집중할 수 있었다.
올해 퀴어퍼레이드는 사회적으로 성소수자 혐오

본무대에서 발언한 이정미 정의당 신임 당대표의 발언은 성소수자들에게 큰 힘을 줬다. 현직 당대표가 퀴어퍼레이드에서 발언한 것은 이정미 대표가 최초이다. 이정미 대표는 A대위가 구속됐을 때 자신이 국회의원들의 탄원서를 조직했고, 동참하려는 의원들이 별로 없어 어려운 상황에서도 10명의 의원을 모아 군형법 92조의6 폐지 법안을 발의했음을 알렸다.
이정미 대표는
성소수자 학생회장들의 발언도 큰 박수를 받았다.
무지개 퍼레이드
4시부터 시작된 퍼레이드는 장관이었다. 주말 오후 을지로, 종로, 명동 거리가 무지개빛으로 가득 했다.
행진이 시작되자 몇몇 우익 기독교인들이 행진 시작점에 와서 혐오 발언을 쏟아냈는데,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기독교 단체들이 이들 앞을 가로막고 나섰다. 성소수자들에게 힘을 북돋아 주는 순간이었다. 성소수자들은 이 장면을 보고 감동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이번 퀴어퍼레이드 행진은 11년 만에 종로로 진출했다. 많은 사람들이 퍼레이드를 따뜻한 눈빛으로 바라봤다. 사진을 찍고 손을 흔드는 사람들도 여럿 있었다.
행진 차량 아홉 곳 중
이 대열은
군인권센터가 이끄는 차량 대열도
참가자들은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르며 당당하게 성소수자의 존재를 알리고 행진을 마쳤다. 다시 시청 광장으로 돌아온 참가자들은 한껏 상기된 표정이었다.
적지 않은 참가자들은 이런 해방감을 오늘 하루 흠뻑 만끽한 뒤, 내일부터 다시 지긋지긋한 차별 일상 속으로 돌아가야만 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 얻은 자긍심이 남은 364일 동안에도 차별과 혐오에 맞서 저항할 수 있는 힘이 되길 바란다. 차별과 혐오에 맞서 함께 싸우자.




부스 행사들
올해도 행사장엔 1백 개가 넘는 다양한 부스들이 차려졌다. 성소수자 차별 반대와 자긍심을 보여 주는 굿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