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의 험난한 중국 방문길:
한·미·일 동맹 촉구하는 미국, ‘3불’ 이행 요구하는 중국
〈노동자 연대〉 구독
이달 중순 문재인이 중국을 방문해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한다.
사드 배치로 한
그러나 문재인이 중국으로 가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다. 그의 방중을 앞두고 한
가장 첨예한 쟁점은 이른바
사실
최근 중국 언론들은 한국이 3불에 더해

중국과 한국의 사드 문제는 해결된 게 아니라 일시 봉합된 것임이 날이 갈수록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은 사드 문제를 단계적으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하는 것을 봐서 움직이겠다는 뜻이다.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금수도 부분적으로만 풀어 줬다.
우파들은
중국 정부가 약속 이행을 강조하는 이유는 한국 정치권에서 벌어지는 논란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미국과의 갈등이 있다.
3불1한
미국은 문재인 정부의
11월에 서울에 온 트럼프는 문재인 정부에 대중국 견제를 위한
일부 좌파는 트럼프 정부가 일본 총리 아베가 주창한
물론 트럼프 정부의 대외정책에 변덕스런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전략이 부재하다고 보는 것은 잘못이다. 최근 미국의 인도
최근 트럼프는 국방부 아시아
또 슈라이버는 인준 청문회에서 미국이 한
최근 방한한 미국 국무부 고위 관료도 문재인 정부 인사들한테
사드
미국과 중국 등의 제국주의 간 경쟁이 점증함에 따라, 문재인 정부도 그 경쟁이 주는 압력 때문에 외교정책에서 운신의 폭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문재인은 노무현 정부 때처럼 다시 한 번 동북아에서 균형자를 자임하고 싶지만, 의지와 능력 사이의 격차 앞에서 갈팡질팡할 처지다.
문재인 정부는 균형외교를 말하지만, 실천은 한미동맹으로 기울어 왔다. 중국이 사드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와중에도, 문재인 정부는 사드 공사 장비를 성주 사드 부지에 반입하는 등 사드 배치 안정화를 위한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오늘날 동아시아에서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경쟁은
경쟁하는 제국주의 국가들 사이에서 균형을 도모하거나 줄타기를 시도하는 것은 노동계급에게 대안이 될 수 없다. 그것이 제국주의 체제라는 현실을 바꾸지는 못할 테니 말이다.
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