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민평당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반대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정의당 의원단이 의원총회를 열어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지난 대선 때

반면, 민평당은 노동계급 운동과 아무 유기적 연계가 없는 보수 정당이다. 민평당은 최근에 노동시간 관련 근로기준법 개악에 찬성했다. 국회 환노위 소속 의원 이상돈은
민평당은 최저임금 산입 범위를 확대하는 개악 법안도 제출해 놓은 상태다.
두 당의 기반이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정의당과 민평당이
연정의 통로?
정의당 의원단의 명분은
즉, 의회 교섭단체 세 당
물론
문제는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이
정의당 지도자들이 여권의 이런 꾀죄죄함을 폭로하지 않고 그들과 같은 전열에 서 있는 것처럼 말하는 것은 노동계급의 정치 의식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의당 지도자들의 정치 행보는 또한 정의당 지지 노조 지도자들의 정치적 독립성을 약화시킬 우려도 있다.
의회와 투쟁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그러나 정의당은 의회 활동의 비중이 의회 바깥 활동보다 훨씬 큰 의회주의적 정당이다. 계급투쟁보다 의회 내 입법 활동이 사회 개혁 실현에서 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본다.
정의당 의원들이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해 얻고자 하는 제일 목표도 선거법 개정이다. 그동안 정의당 안에서는
그리고 노동자들은 노골적인 친자본주의 정치인만 득실대는 의회에 넌더리를 낸다. 노동계 진보 정당의 의원들이 사용자들의 탐욕을 비난하고 실제로 노동자 편을 드는 것은 노동자 운동을 건설할 때 괜찮은 정치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정의당의 성장은 의회 내 정치 협상에 달려 있지 않
그러므로 정의당 지도자들이 의회 내 정치공학을 위해 민평당과 동맹하는 것은 불필요한 타협일 뿐이다.
다행히 정의당 안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양경규 전 민주노총 공공연맹 위원장
정의당여성주의자모임도 민평당의 성적 보수주의를 비판하며 민평당과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반대했다. 민평당 의원 김경진은 국가인권위법에서 성적지향 조항 삭제를 추진했고, 박지원은 동성혼을 반대했다. 그래서 지난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성소수자들을 방어한 것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17일 정의당 전국위원회의 좌파는 의원단의 결정을 거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