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리 유치원 대책 발표:
재정과 교사 확충해 유아 교육 공공성 제대로 강화해야
〈노동자 연대〉 구독
10월 25일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정부는 국
유치원 비리에 대한 공분과 기층의 압력이 일정 부분 수용된 결과다. 10월 11일 박용진 의원이 비리 유치원 명단을 공개한 뒤 학부모들의 분노가 들끓었다. 7억 원가량을 횡령한 동탄 지역의 환희 유치원에서는 학부모 200명이 모여 원장에게 공개 사과를 받아 내고, 정부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동탄 지역 집회도 열었다. 다른 지역에서도 이런 집회를 열자는 요구들이 나오던 참이었다.
미흡한 개혁 때문에 문재인의 지지율이 추락하고 노동자들의 불만은 커지는 상황에서 여론을 달랠 필요도 있었을 것이다. 특히 교육은 문재인 정부의 가장 실망스러운 분야로 꼽혀 왔다. 유아 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요구해 온 사람들은 이번 발표를 대체로 환영하며 대책을 제대로 실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의구심
그런데 정부가 과연 자신의 말을 제대로 실현할 것인가 하는 의구심도 존재한다. 이제까지 정부들은 사립 유치원들의 이윤을 보장해 주는 방식으로 보육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 과정에서 교육부
문재인 정부도 국
그래서 이번 폭로가 나오는 데 기여한
정부는 이번에 국공립 유치원 확충 계획을 발표했지만 재원과 인력 확충 방안이 충분치 않다. 정부는 2019년 예산 5000억 원에 필요하면 예비비를 투입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해 국공립 유치원 확대에 2000억 원가량을 투입해 501개 학급을 늘렸지만, 국공립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 수는 32명 느는 데 그쳤다. 사립 유치원들의 반발을 피하고 재정을 절감하려고 수요가 적은 곳에 국공립 유치원을 지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공립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 비율이 전국은 25.5퍼센트인 반면 대도시는 16.6퍼센트에 불과하다.
정부는 적은 비용으로 국공립 유치원을 늘리기 위해 공영형
국공립 유치원 확대에 반드시 필요한 교사 확충 계획도 이번에 발표되지 않았다. 정부는 2019년 국공립 유치원 교사 신규 임용 수를 지난해의 70퍼센트 수준으로 줄인 바 있는데, 제대로 된 교사 확충 계획을 내야 한다.
장하나 정치하는 엄마들 공동대표는 비리를 없애기 위해
사립 유치원 사이에서 만연한 비리는 이제까지 유아 교육을 시장에 의존해 온 구조가 낳은 결과였다. 비리를 없애려면 이런 구조 자체를 근본에서 바꿔야 한다. 국공립 유치원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 그 재원은 기업과 부유층 증세를 통해 마련해야 한다.
박용진 의원은
유아 교육과 보육의 공공성 강화는 기업화한 사립 유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