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공안부 → 공공수사부: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이 되지 않는다
〈노동자 연대〉 구독
문재인 정부가 대검찰청
정부가 16일에 입법예고한
이 조처들은 출범 후 논의돼 온 문재인 표
지난 50년 동안 한국의 권력기관들은 혁명적 좌파만이 아니라 노동조합 운동, 학생 운동, 좌파적 학술 연구, 진보 야당 등 다양한 저항 운동들을 모두 체제를 위협하는
자본주의 수호
그러나 명칭을 바꾼다고 기구의 본질이 달라지진 않는다. 도대체 몇 번이나 당명을 바꾼지도 모르는 민주당과 자한당만 봐도 알 수 있다. 다른 대부분의 문재인 식
가령, 대검찰청
통상적인 쟁의행위조차 유별난 탄압 대상이 되곤 하는 것에는 노동자 투쟁 자체를

〈경향신문〉사설
이 사설은 이 반발의 본질을 공안검사들의
이런
한국 자본주의는 지난 50년간 압축 성장을 하며 선진 경제 문턱까지 성장했지만, 여전히 취약하고 모순이 크다. 가장 큰 모순은 한국 자본주의가 노동계급을 달랠 양보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반면, 노동계급 운동은 이제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했다. 1987년 이후 자본주의적 민주주의로의 전환 과정이 순탄하지 않고 불안정을 겪어 온 이유이고, 한국의 사용자 계급이 노동 문제에서 각별히 표독스럽게 나오는 이유이다.
그래서 모순과 계급간 충돌이 반복돼 왔고, 노동계급이 변화를 추동해 왔다. 1997년, 2016년 경제 위기를 이유로 한 우파 정부의 반동 시도가 모두 노동법 개악에 저항하는 노동운동이 주도해 벌어진 대중 투쟁 속에서 패퇴한 것, 그때마다 민주당으로 정권이 바뀌었지만 매번 민주당 정부가 개혁 기대와 요구에 전혀 부응하지 않은 것 등은 기억해야 할 핵심적 사실들이다.
노동 사건
가령, 김대중 정부의 국가보안법 구속자가 전임 김영삼 정부 때보다 더 많고, 노무현 정부의 노동자 투쟁 구속자가 역대 정부 최다였다. 민주당 역시 한국 자본주의를 수호하려는
문재인 정부도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요컨대, 공안 수사에서 노동 사건이 핵심으로 남은 것은 노동계급의 저항을 경계하고 억누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인 것이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의 공안 수사 명칭 변경은 대단한 개혁이 아니라 달라진 환경 조건에 맞게 명칭을 바꾼 것일 뿐이다.
검찰의 공안 정세 분석 기능을 없앤다는 점이 눈에 띄지만, 바뀐 공안 개념에서도
이번에도 문재인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