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 노동자 파업:
“10년 동안 물가 올랐는데도 운임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노동자 연대〉 구독

10월 18일 전국의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하루 파업을 하고 정부에
안전운임제는 운임
2018년 3월 국회에서
화물 노동자들이 적정임금 보장을 요구해 온 이유는 지입제, 다단계 구조의 폐해가 고스란히 노동자들의 고통으로 떠넘겨져 왔기 때문이다.
화물연대 김근영 인천지부장이 전하는 현실은 이렇다.
운임표상 운임의 66퍼센트 정도만 화물 노동자의 손에 쥐어지는 셈인데, 심지어 50퍼센트밖에 못 받는 일도 종종 벌어진다.
한 화물 노동자는 안전운임을 제대로 책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렇게 말한다.
기대를 저버리고 있는 문재인 정부
국토교통부가 구성한 안전운임위원회는 내년에 적용할 안전운임과 안전운송원가를 10월 말까지 발표할 예정이다. 18일 하루 파업은 이를 앞두고 안전운임을 제대로 결정하라고 요구하는 행동이다.
현재 안전운임위원회의 논의는 노동자들의 기대에 턱없이 부족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화주와 운수사업자들은 마땅히 포함돼야 할 보험료, 출퇴근비, 숙박비 등을 빼 어떻게든 운임을 낮추려고 혈안이 돼 있다.
김근영 지부장은 이렇게 말한다.
설상가상으로 화주와 운수업체들은 운송에 필요한 각종 비용 외에 인건비
심지어 사용자들은 벌써부터 안전운임제 시행을 무력화할 방안을 찾고 있다. 안전운임제로 운임이 오르면 화물 노동자에게 지급하던 유가보조금을 폐지하고 그 재정을 화주나 운송업체에 지원해야 한다는 조삼모사식 주장이 나오고 있다. 기존에 화주들이 유가보조금만큼 운임을 낮춰 온 상황에서 월 100만 원 수준의 유가보조금이 폐지되면 안전운임을 통한 운송료 인상은 헛일이 된다.
안전운임제 도입을 추진한 문재인 정부에 걸었던 한 가닥 기대도 배신으로 돌아오고 있다. 정부는 화물 노동자가 하루 13시간, 월 9000킬로미터 이상을 운행해야만
정부 안대로라면 안전운임제를 통해
이처럼 사용자들과 정부가 이런 개악안들을 내놓고 있어 안전운임위원회에 대한 노동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안전운임위원회 구성도 노동자들에게 불리하다. 화주와 운수업체가 각각 3인, 공익위원이 4인을 차지하고 화물연대의 몫은 고작 3인이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사용자측과 정부가 온갖 개악안으로 안전운임을 누더기로 만들지 못하게 하려면, 화물 노동자들이 강력한 힘을 보여 줘야 한다. 그래야 제대로 된 안전운임제를 쟁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