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헌고 사태:
우파의 ‘침소봉대’에 맞서 학교와 교사를 방어해야 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서울 관악구 소재의 인헌고등학교에서
11월 12일 자유한국당 대표 황교안도 인헌고를 들먹이며
이번 인헌고 사건은 10월 23일 인헌고등학교학생수호연합
학수연은 지난 10월 17일 진행된 교내 마라톤 대회에서 학교 측이 반일 구호를 강제로 외치게 했다고 주장한다. 일부 교사가 수업 시간에 편향된 주장을 하며, 학생에게
그러나 학교 측과 학생 대다수의 입장은 학수연과 정반대이다.
인헌고는 매년 주제가 있는 마라톤 대회를 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당시 담당 교사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학생들이 작성한 선언문 중
조국 사태와 관련해
10월 23일 진행된 서울시교육청의 사실확인 설문조사 결과로도 학수연 측의 주장은 왜곡
10월 24일에는 학수연의 주장이 왜곡

이번 인헌고 사태는 올해 3월 초, 인헌고 3학년 학생 2명
그런데 이후 해당 교사는 왈리의 활동 일지를 보며 성 차별적 요소와 소수자 혐오가 있음을 발견하고, 왈리의 목적에 동의하지 않으니 지도교사 수락을 철회하겠다고 알렸다. 이 때문에 동아리가 폐쇄되자, 왈리 대표는
인헌고 왈리는 전국연합성평화동아리
교사의 정치적 중립?
학교 측과 학생회는 이 문제를 학교 구성원들의 토론을 통해 해결할 테니 외부 단체의 개입 중단을 요청했다. 우파 측이 학교 앞 집회까지 하며 소란을 피는 상황을 우려한 요청이었다.
그러나 외부단체 개입 중단이라는 학교 측의 대응은 우파가 아닌 진보 측의 개입만 위축시키고 있다. 보수 언론과 보수 단체들의 막무가내 식 개입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인헌고 학생들이 10월 22일 서울시교육청에 특별감사 요구 청원을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오마이뉴스〉 보도를 보면, 이 청원은 우익 단체인 자유법치센터, 자유대한호국단, 턴라이트 대표들이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수연에 외부 보수 단체들이 개입됐음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10월 30일에는 국회 교육위 소속 한국당 의원들이 서울시교육청을 찾아 인헌고 사태에 조속히 대처하라고 요구했고, 10월 31일 보수 교원단체인 교총은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강조하며 관련자를 엄중히 문책할 것을 요구했다. 우파 단체들은 교장과 교사를 검찰에 고발했을 뿐 아니라 11월 7일에는 인헌고 학생까지 검찰에 고발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학교 앞 집회를 하는 것에 비판이 일자 보수 단체들은 현재 집회는 멈춘 상태이다. 그러나 수능 다음 날인 11월 15일에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는 등 우파들은 이번 일을 진보 교사 입에 재갈을 물리고 자신들의 정치적 목소리를 키우는 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학수연과 우파 단체들은 교사의
그러나 학수연과 우파들의 행동 자체가 이미 정치적이다. 박근혜 정부 때 한국사국정화교과서 반대 교사 시국선언이 탄압받은 데서 보듯,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 유지에 이용돼 왔다.
최근 학교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논쟁적 사안을 다루는 다양한 수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교사가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학생들과 논쟁하고 토론하는 것 역시 민주시민교육이다. 교사의 정치적 의견 피력은 토론과 논쟁의 대상이지 처벌받아야 할 것이 아니다. 앞서 봤듯이, 지금 공격받고 있는 인헌고 교사들이 자신의 생각을 학생들에게 강요한 것도 아니다.
우익 단체에 의해 고발된 김모 교사는 2015년 탈핵운동 행사에 학생과 함께 참가한 일로도 공격받고 있다. 탈핵운동에 대해 동의하는 학생들이 행사에 참가하고 봉사점수를 받은 것이 왜 문제인가?
우파들은 진보적 교사의 입에 재갈을 물리며, 특히 전교조를 공격하고자 이 사건을 이용하고 있다. 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