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 결과 발표:
책임자들에게 또다시 면죄부 주다
〈노동자 연대〉 구독

1월 19일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
특수단은 유가족과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오랫동안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해 온 유가족들은 이번 발표에 대해 큰 실망과 분노를 표했다.
박근혜의 법무부
특수단은 황교안과 우병우를 서면조사만 했다. 법무부와 검찰이 위계 관계에 있는데도
유가족 사찰이 문제 없다니
특수단은 기무사와 국정원의 민간인 사찰 내용이 언론에 유포되거나 협박에 사용되지 않았고, 청와대의 지시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박근혜, 김기춘, 남재준 등에게
그러나 이미 밝혀진 사실들만 보더라도 유가족 사찰은 용납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다.
2018년 국방부의 조사와 전 기무사 참모장에 대한 재판에서 기무사가 60명 규모의
2017년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는 국정원 국내정보부서가 국정원 지휘부와 청와대에 세월호 관련 동향을 보고했고, 국정원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규탄 기자회견 등에 개입했다고 발표했다. 박근혜의 청와대와 국정원은 유가족을
보안경찰들은 세월호 운동을 흠집내 정부에 도전하는 투쟁으로 발전하지 못하게 하려고 사찰을 한 것이다. 이들은 이런 정보를 이용해 개인과 운동을 탄압할 막강한 힘을 갖고 있다. 이 기구들의 책임자인 대통령 박근혜와 비서실장, 국정원장 등은 처벌돼야 마땅하다.
고 임경빈 군 구조 지연으로 인한 사망 의혹도 살인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가 없다고 했다. 해경이 임 군의 생존 가능성을 인지하면서도 방치했다고 볼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당시 해경은 원격 진료한 병원 측의 긴급 후송 요구에도 임 군을 곧바로 보내지 않았다.
이 건은 혐의 성사 여부와 별개로 국가 기구가 평범한 사람들의 생명을 중히 여기지 않음을 보여 줬다.
문재인의 위선
결국 이번 수사는 2014년 수사에서 크게 나아가지 못했다. 이번에도 검찰, 국정원 등 핵심 국가 기구들에 대한 전면적 수사와 충돌은 결코 벌어지지 않았다.
2014년 부실 수사의 주범 이성윤
윤석열이 임명한 특수단 단장 임관혁은 우병우 하에서 오랫동안 평검사로 일했고,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 비선 실세 감찰 보고서
이제 세월호 참사 해결은 문재인 정부의 배신 목록 중 대표적인 하나가 되고 있다. 정권이 바뀌어도 유가족들은 여전히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청와대 앞에서 농성을 한다.
지난해 민주당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사참위 조사 대상에서 삭제시키는 사참위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얼마 뒤 법원은 살균제 기업 SK케미칼과 애경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정부
문재인 정부의 친기업 행보는 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