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영화평] 〈당신의 사월〉(주현숙 감독, 2021):
세월호 참사 7주기, 끝나지 않은 싸움을 이어 가야 할 때

오는 4월 16일이면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지 7년이 된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현재 진행형인 과제이다.

올해 1월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참사 책임 은폐 시도에 면죄부를 주는 결정을 내렸다. 유가족들과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수사 의뢰한 17개 의혹 중 대부분을 무혐의 처리한 것이다. 정권이 바뀌었지만 국가 기구는 7년이 지나도 평범한 사람들의 목숨을 하찮게 여기고 있다.

그런 지금, 우리에게 끝나지 않은 길을 굴하지 말고 계속 걸어가자며 따뜻하게 위로하는 영화가 개봉했다.

4월 1일 개봉한 영화 〈당신의 사월〉(감독 주현숙)은 세월호 참사를 지켜본 평범한 사람들이 참사부터 그 이후 수년간 겪은 이야기를 담담하게 담았다. 원래 2019년에 제작 완료해 지난해 개봉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개봉이 1년 늦춰졌다.

“2014년 4월 16일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요?”

세월호 참사를 지켜본 평범한 사람들은 그동안 어떤 길을 걸어왔고, 무슨 생각을 해 왔을까?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이 영화는 “2014년 4월 16일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었나요?”라는 물음을 던지며 출발한다.

세월호 희생자 고故 오준영 학생의 동생 오민영 씨는 “2014년 4월부터 지금까지 반복되는 4월 속에 저의 기억만 계속 가지고 살았는데, 많은 시민들의 기억을 느낄 수 있[다]”며 〈당신의 사월〉을 추천했다.

그의 추천사대로 〈당신의 사월〉은 유가족들과 함께 슬퍼하고 투쟁해 온 사람들의 입을 빌려 참사 이후를 돌아 본다.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과 또래인 대학생(이유경), 세월호 시국선언에 앞장선 인천 모 중학교 교사(조수진), 유가족들이 최초로 청와대 행진에 나선 날 따뜻한 물을 건넨 통인동 카페 사장(박철우), 유가족들 곁을 지켜온 인권 활동가(정주연), 세월호 희생자 고故 문지성 학생의 시신을 최초 수습한 어민(이옥영).

이 5인이 처한 환경은 서로 달랐지만 세월호 참사가 가한 충격은 모두에게 컸다. 출연자 5명은 자신의 경험들을 진솔하게 전달한다. 여러 조각의 다양한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관통하는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다.

‘선수의 앞부분만 부표처럼 떠 있는 지금, 왜 아무것도 할 수 없는가?’ 하는 무력감, ‘국가는 도대체 어디 있는가?’ 하는 분노, ‘슬퍼만 하는 게 아니라 투쟁을 통해 맞서 싸울 수 있다’는 희망, ‘끝나지 않은 싸움에 보탬이 되고 싶다’는 연대의 마음이 그것이다.

어민 이옥영 씨는 평범한 사람들의 생명을 살리는 데 어떠한 관심도 보이지 않는 국가의 실체를 똑똑히 봤다. 그는 세월호가 침몰한다는 소식을 듣고 어업용 배를 끌고 나갔지만 가라앉는 세월호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었고, 어업 중 희생자의 시신을 수습했다며 말을 잇지 못한다.

특히, 희생자의 대부분은 경기도 안산의 노동계급 밀집 거주지역에 사는 학생들이었다. 출연자들은 귀한 생명이 눈앞에서 스러지는 모습에 생판 남인 사람들도 내 일처럼 충격과 슬픔을 느끼는데 국가는 그렇지 않았다며 분노했다. 평범한 서민들은 목숨마저 하찮게 여겨진 것이다. 국가는 사고를 막지도, 구조를 하지도 못했고 책임 회피와 적반하장으로 일관했다.

멈춰 있는 진상규명, 승승장구하는 책임자들 지난 1월 22일 세월호 유가족들은 농성과 집단 삭발로 검찰과 정부에 항의했다 ⓒ이미진

2014년 5월 8일 유가족들이 서울 거리로 나섰다. 유가족들은 세월호 참사를 교통사고에 비유한 KBS 보도국장의 망언과 오보에 항의하며 KBS로 향했다. 이 발걸음은 자연스럽게 박근혜의 청와대로 향하게 됐다.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의 첫 시작이었다. 넘어가는 침조차 바싹 말랐을 유가족들의 항의 장면에서는 주먹을 꽉 쥐게 된다.

그로부터 2년 뒤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은 박근혜 퇴진 운동에서 선두에 섰다. 영화는 당시 시위 참가자들의 환희를 잘 표현한다. 세월호 참사의 책임자 박근혜는 결국 구속됐다.

“여전히 많은 것들이 해결되지 않았다”

그렇게 정권이 바뀐 뒤로 4년이 지났다. 이제 세월호 참사 이후 더 많은 기간이 문재인 정부의 임기에 속해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뀐 시점을 기준으로 보면, 세월호 참사 해결은 거의 아무런 진전이 없다. 이 문제는 문재인 정부의 무수한 개혁 염원 배신 중 대표 배신이 됐다.

2년 전 제작된 이 영화는 문재인 정부의 무책임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지는 않는다. 다만 ‘지금도 해결이 안 되고 있다’고 지적은 한다. 그때까지만 해도 세월호 운동 안에서도 현 정부에 대한 기대와 미련이 더 컸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해결은커녕 세월호 참사 책임자를 해경 중요 보직에 앉히고, 참사 당시 부실 수사 총책이던 이성윤을 검찰 요직(차기 검찰총장이 유력한 서울중앙지검장)에 앉혔다. 문재인의 배신적 인사를 보면, 진상 규명·책임자 처벌이 이행되지 않은 게 하나도 놀랍지 않다.

문재인 정부와 국회는 제2, 3의 참사를 방지하고 책임자들을 제대로 처벌하라는 절절한 외침도 외면해 왔다. 정부와 주류 정당들은 언제나 기업의 이윤 보존을 우선해 왔고, 그 속에서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개정 산업안전보건법), 누더기가 된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결국 유가족들과 참사 피해자들은 타들어 가는 가슴을 붙잡고 다시 차가운 길바닥에서 농성해야 했다.

문재인 정부가 세월호 적폐 해결을 외면하는 동안 우파들은 박근혜 사면·석방을 요구했다. 여당 대표 이낙연도 박근혜 사면을 언급했다.

한편, 우파는 문재인의 지지율 하락에 어부지리 반사이익을 얻으며 재기하고 있다. 그리고 세월호 문제는 2030 청년들이 문재인 정부에 실망하고 등 돌린 배경 중 하나이다.

이런 상황은 우리에게 남은 과제가 여전히 있음을 보여 준다.

세월호 시국선언에 앞장섰다가 처벌과 징계 위협에 시달렸던 중학교 교사 조수진 씨는 해마다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학교 안팎으로 분투하고 있다. 조수진 씨는 관객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돈이 우선인 이 사회에서 사회적 참사는 끊이지 않는다.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기 위해 이 사회에 맞서 싸우는 것이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의 무책임과 무능에 분개했던 사람들 중에는 문재인 정부가 문제를 해결해 줄 거라고 (또는 이미 어느 정도 해결했을 거라고) 믿고 관심을 덜 가지는 이들도 있다. 그런 분위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자칫 힘이 빠졌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참사 몇 년 후에도 평범한 사람들이 관심을 지속해 왔음을 보여 주고 위안을 전한다.

〈당신의 사월〉은 세월호 참사를 낳은 시스템이나 대안 등 정치·사회적 측면을 다소 에두른다. 하지만 그럼에도 영화의 주요 출연진들은 모두 던져진 질문들을 외면하지 않고 각자 답하기 위해 애쓰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더 나은 답을 제시하고 성찰하는 것은 늘 그랬듯이 실천과 연결된 문제이다.

지난 7년의 궤적을 돌아보고,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 앞에 놓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