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 재연장 ― 노무현의 조지 부시 구하기
〈노동자 연대〉 구독
이라크 파병 연장과 장기 주둔을 정당화하기 위해 지배자들이 거짓말을 늘어놓고 있다. 지난, 11월 4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우당 김성곤은 뻔뻔스럽게도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이라크인들을 학살하고 갈등을 부추기고 있는 부시의 점령 정책을 지지해 온 노무현 정부야말로
자이툰 부대는 부패한 친제국주의 세력인 쿠르드자치정부
한국 기업들의 이익은 파병 재연장의 또 다른 이유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미 한국 대기업들은 굶주린 하이에나처럼 이라크인들의 시체더미를 뒤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식민총독부 이라크임시행정처
첫번째 수주는 국회에서 추가 파병을 결정한 직후였고, 두번째와 세번째는 자이툰 부대 출병 직전과 직후였다. 제국주의 군대 자이툰 파병이 한국 대기업들의 이해관계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보여 준다.
그러나 한국 대기업들의 이익은 한국 노동계급의 이익과 상관 없다. 삼성과 현대 같은 대기업들이 한국에서 저지르고 있는 한국 노동자들에 대한 억압은 결코 둘 사이의 이해관계가 같지 않다는 것을 보여 준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과 현대 하이스코가 보여 준 비정규직노동자 탄압은 가장 최근의 사례일 뿐이다.
2003년 11월에 이라크에서 오무전기 노동자 김만수 씨와 곽경해 씨가 사망했지만,
부시의 위기는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 위기의 근저에 이라크가 있다. 따라서 부시에게는 노무현 정부의 지원이 매우 다급한 문제다. 럼스펠드가 방한하고 나서 노무현은
반면, 누적된 미국 내의 불만이 폭발해 부시의 국내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과 부시의 전쟁 동맹인
11월 18일 반부시
감군이 아니라 즉각 완전 철군이어야 한다
국회
그러나, 이런 요구는 어떤 상황에서는 반전운동 내에 혼란과 분열을 낳을 수 있다. 노무현이 감군을 추진한다면 그것은 장기 주둔이나 임무 전환 ― 전투 활동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 을 위한 면피용일 것이다. 사실 감군 계획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