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위탁 중심의 초등돌봄, 다함께돌봄센터:
열악한 처우 개선은 돌봄의 질과 직결된다
〈노동자 연대〉 구독
2018년 문재인 정부는 초등돌봄 확대 계획을 발표하며 내년까지 초등돌봄교실과 마을돌봄 이용자를 각각 10만 명씩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초등돌봄교실이 확대되고, 다함께돌봄센터가 신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초등돌봄 정책은 노동계급 등 서민층의 필요에 크게 못 미친다. 양적 확대조차 불충분할 뿐더러 서비스의 질도 보장받기 어렵다. 초등돌봄기관 운영에 필요한 재정을 정부와 지자체가 분담하는데, 정부의 재정 지원이 부족해 지자체는 서비스 기관을 대부분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돌봄 노동자들의 처우가 열악하다.
올해 2월 전국돌봄노동조합이 출범한 이유다. 전국돌봄노조는 지역아동센터와 다함께돌봄센터에서 일하는 돌봄 노동자의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전국돌봄노조 황재인 정책담당은 본지에 다함께돌봄센터 노동자들의 불안정한 고용과 열악한 노동조건에 대해 여러 얘기를 들려줬다.
과중한 업무
구청 직영 다함께돌봄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들도 고용 불안정에 시달리기는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으로 서울 영등포구청이 운영하는 돌봄센터의 노동자들은 모두 1년 미만의 계약직 비정규직이다. 2년을 초과해 일한 노동자가 없다. 최근 이 노동자들은 내년 2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영등포 구청장에게 정규직 전환을 요청하는 청원을 올렸다.
과중한 업무도 노동자들의 불만 사항이다. 학생 20명 당 교사 1명이 돌봄업무와 행정업무를 모두 담당하고 있어 법정연차휴가도 보장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전국돌봄노조는 교사 충원 등의 지원을 확대하라고 보건복지부에 요구했다.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지는 다함께돌봄센터만의 문제가 아니다. 황재인 씨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조건은 더 나쁜 경우가 많다고 했다.

맞벌이, 한부모 가정이 늘어나면서 초등돌봄 지원 확대 요구가 높다. 그런데도 2019년 기준 초등학생 공적 돌봄 이용률은 14.5퍼센트에 불과했다.
초등돌봄 서비스 확대는 노동계급 등 서민층 자녀에게 매우 중요하다. 부유층의 자녀와 달리,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서민층 가정의 아이들은 사회적 지원이 없다면 방치되기 쉽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직장을 그만둬야 하는 여성도 많다.
양질의 돌봄서비스 제공 기관이 많아져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의 재정 지원이 크게 늘어나야 한다.
초등돌봄은 미래의 노동력을 키우고 기존의 노동력을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국가와 자본가들이 마땅히 비용을 책임져야 한다. 국가가 재정 지원을 대폭 늘려 돌봄 노동자들의 조건을 개선하고 양질의 돌봄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