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수정안 논란 - 당 지도부는 후퇴를 멈춰야 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12월 18일 민주노동당 중앙위원회는 기간제 고용 사유제한을 확대하는 단병호 의원의 수정안을 당론으로 결정했다. 48명의 중앙위원들
그 동안 단병호 의원은 비정규직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만드는 데서 중요한 구실을 했다. 그러나 단 의원의 수정안은 그런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
단 의원은 수정안이 기간제 고용 사유제한을 쟁점화하기 위한
열우당이 주장하는 기간제한이 기간제 확대를 막을 수 없다는 단 의원은 주장은 맞다. 이 점에서 단 의원이 한국노총의 사유제한 포기를 비판했던 것은 옳았다.
단 의원은 당 중앙위에서 수정안이
오민규 전국비정규직연대회의 집행위원장도
무비판적 지지, 침묵, 혼란
단 의원의
당 지도부의 수정안은 열우당으로 기우는 한국노총 지도부를 염두에 뒀던 듯하다. 한국노총 지도부는 민주노총의 12월 파업 하루 전에 기간제한 입장을 내놨다. 이것은 민주노총의 파업에 찬물을 끼얹으며 열우당의 손을 들어 준 것이었다. 이런 한국노총 지도부가 민주노동당이
한편, 민주노동당 중앙위에서 전재환 민주노총 비대위원장은
실제로, 열우당과 한나라당이 합심해 비정규직 확대 법안을 처리하려 하는 상황이다. 두 당의 차이는 사소하다. 따라서 우리가 단결해 이 공격에 맞서야 한다는 생각은 옳다. 그러나 당과 민주노총 지도부의 수정안 자체가 우리 내부의 갈등과 분열을 자아냈다. 이럴 때 단결을 위해 후퇴에 침묵해야 하는가? 아니면 그 후퇴에 저항하면서 진정한 단결을 추구해야 하는가?
분열은 안 된다는 생각 때문에 후퇴에 동조하거나 침묵한다면 그것은 운동의 후퇴를 낳을 것이다. 때로 분열 없이는 전진할 수 없을 때도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진보정치〉는 당의 수정안이
터무니없는 소리다. 단 의원조차 이렇게까지 주장하지는 않는다. 최근에 〈진보정치〉는 엄청난 낙관을 보인다. 농민 타살 정국이
당내 중도 의견그룹인
국회 밖
당내 좌파 의견그룹인
그리고 당의 비정규직 투쟁 방향이
또,
이런 문제점들 때문에 적지 않은 중앙위원들이
당 지도부는 국회 내 협상을 통해서 최악의 안을 막으며 연내 입법을 관철하겠다는 생각으로 수정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런 의회주의적 고려에서 비롯한 부적절한 타협과 후퇴는 국회 밖 대중 투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만약 열우당이 민주노동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개악안을 통과시킨다면 그 당의 계급적 본질은 노동자 대중에게 더 분명하게 입증될 것이다. 오민규 전국비정규직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이 지적했듯이,
단병호 의원이 국회 안에서 수정안을 내놓고 협상한다면 대중은 그 협상을 지켜보며 수동적으로 기다릴 것이다. 민주노동당 의원이 협상하면 그래도 뭔가 나아지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면서 말이다.
단 의원은
결론을 말하자면, 일방으로 강행 처리된 최악 법안을 사문화시키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