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되는 탄압에 맞불을 놓아야 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고려대 당국이 내놓은 징계 사유는 많은 사람들에게 징계의 의도를 의심케 하기에 충분하다. 반성하지 않은 7명의 학생들에게 출교 처분을 내렸다는 고려대 당국의 주장은 거짓말이다. 19명의 징계 대상자가 모두 반성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출교자 중 강영만 씨는 4월 5일 농성에서는 발언한 적도, 교수들과 언쟁한 적도 없는 ‘단순 참가자’였다. 실제로 고려대 당국은 징계 심사 과정에서 4월 5일 농성뿐 아니라 그 전에 있었던 운동들에 대해서도 추궁했다. 즉, 순전히 4월 5일 사건 때문에만 징계한 것이 아니다.
특별히 7명이 출교 처분을 받은 것은 이들이 지난해 이건희 저지 시위부터 올해 초 등록금 인상 반대 투쟁과 강의실 성희롱 교수 퇴출 운동까지 고려대 내 주요 운동을 주도해 왔기 때문이다.
고려대 당국은 그들이 ‘감금’ 사건이라고 부르는 일을 빌미 삼아 급진적 학생들을 표적 탄압함으로써 학생 운동을 위축시키려 하고 있다. 기다렸다는 듯이 다른 여러 대학들도 고려대 당국의 강경 탄압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며 본관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는 연세대와 전남대 등에서 학교 당국은 강경 징계를 위협하고 있다. 기독교 우익인 동덕여대 총장 손봉호는 아예 총학생회를 인정할 수 없다며 탄압하고 있다.
그 동안 대학에 신자유주의를 전면적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는 종종 학생들의 저항에 부딪혀 왔다. 올해도 등록금 인상과 대학 구조조정에 맞선 학생들의 저항이 벌어졌다. 게다가 프랑스 학생들의 승리 소식은 한국의 학생들을 고무할 수도 있는 일이었다.
그래서, 대학 당국들은 각 대학에서의 투쟁이 점점 규모가 축소되자 급진적 활동가들을 희생양 삼아 학생들의 저항을 위축시키려 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고려대 학생들처럼 탄압에 맞서 굳건히 싸운다면, 대학 당국의 강경 탄압은 오히려 투쟁에 새로운 불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을 기점으로 대학들이 신자유주의 도입을 더 강력히 밀어붙이려 할 것인만큼 학생 운동도 ‘맞불‘을 놓아야 한다. 탄압 반대 투쟁과 함께 대학의 신자유주의화에 반대하는 투쟁을 건설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