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전선체 논쟁 ② 단일전선체와 민주노동당:
전선은 대중투쟁, 당은 의회활동?
〈노동자 연대〉 구독
단일전선체 문제가 당 내에서 거의 처음 논의되는 상황에서 지도부가 단일전선체 건설에 담긴 정치적 함의
당 지도부는 당원들을 정치적으로 설득하려 하기보다 은근슬쩍 두루뭉실 일을 진행시키는 식으로 이 문제를 다뤄서는 안 된다. 단일전선체는 민주노동당의 성격, 집권 전략 등과도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단일전선체 건설 문제가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논의 안건이 아니라 단지 보고 안건으로만 다뤄질 예정이라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당과 공동전선
결론부터 말하면, 민주노동당은 단일전선체에 참가하지 않는 게 좋다. 그 이유를 얘기하기 전에 오해 방지를 위해 분명히 해둬야 할 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민주노동당이 공동전선을 통해 다른 세력들과 연계를 맺으려는 노력을 절대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라크 전쟁 반대, 평택 미군기지 반대, 한미FTA 반대, 비정규직 확대 반대 등을 목표로 하는 각각의 공동전선 안에서 민주노동당은 노동조합, NGO, 민중단체, 급진좌파, 소규모 서클 들과 함께 투쟁하면서 그 속에서 지지를 넓히려 노력해야 한다.
이런 공동 투쟁 속에서 민주노동당은, 가령 이라크 전쟁에는 반대하지만 아직 민주노동당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을 자기 편으로 설득할 수 있다. 또, 민주노동당은 노동조합 투쟁을 지지하고 지도하려 노력함으로써, 자신의 노조 간부들은 민주노동당을 지지하지만 아직 자신은 그렇지 않았던 현장조합원들의 지지도 얻을 수 있다.
이런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채 단일전선체를 통해
역할 분담
민주노동당이 원내 활동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은 지방선거 이후에 제기되고 있는
하지만 원내 활동만으로 집권을 이룰 수는 없으므로
이런 입장은 얼핏 대중투쟁과 의회활동의 절묘한 결합처럼 보인다. 하지만 민주노동당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의회활동 전담 기구로의 전락이다.
의회활동은 노동자 정당이 해야 할 여러 활동 가운데 단지 하나에 불과해야 한다. 더구나 국회의원이 9명뿐인 민주노동당의 현실에서 당 활동이 의회 중심이어야 한다는 것은 원내에서 다른 정당과의 동맹을 전제로 한 발상이다.
오해?
하지만 그것은
더욱이, 단일전선체가
민주노동당이 노동계급 정당이 아니라 통일전선적 당이 돼야 한다는 주장, 즉 단일전선체에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주장도 이미 나오고 있다.
민주노동당 강령 변경 압력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다.
사실, 자민통 경향의 다수는 처음에 민주노동당의 등장을 달가워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그래서 자민통 경향들은 민주노동당에 들어온 뒤에도 민주노동당을 민족민주정당 성격으로
단일전선체 주창자들은 지금으로선 진보진영의 단결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투쟁적 당원들이 단일전선체가 적당한 때 추진하려는 계급 연합, 노동자 투쟁에 족쇄를 채울 계급 협력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정당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