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외국인 ‘보호소’ 참사:
이주노동자 살인 정부에 맞선 저항의 확대
〈노동자 연대〉 구독
집회는 이주노동자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분노가 크다는 점을 보여 줬고, 집회 연사들은 책임이 정부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공대위는 이 집회를 알리기 위해 홍보물 5만 장을 제작해 수도권 곳곳에 배포했고 민주노동당 서울시당의 10여 개 지역위들은 거리 홍보전을 진행했다. 이주노조와 외노협, 이주인권연대, 이주노동자 공동체들도 이날의 집회를 위해 적극 조직했다. 민주노동당 기아차 화성분회 노동자들은 자체 홍보물을 만들어 노동자들에게 배포했다. 인권단체연석회의는 인권감시단을 조직해 집회와 행진 때 이주노동자들을 방어하기 위한 활동을 적극 펼쳤다. 이런 노력들 덕분에 이 집회는 최근 이주노동자 집회 중 가장 큰 규모로 열릴 수 있었다.
경찰은 진압 부대를 동원해 거리 행진을 막으려 했지만, 인권감시단과 한국인 참가자들은 이주노동자 대열을 둘러싸고 끝까지 행진했다.
‘공대위’에는 진보적 종교단체를 비롯한 여러 시민·사회 단체들이 속속 가입하고 있다. 서울과 여수뿐 아니라 부산·경남, 대구·경북, 인천, 청주 등지에서 이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기구가 건설되는 등 항의 운동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공대위는 이 운동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대대적인 서명·모금·홍보 활동을 호소하고 있고, 여러 지역의 공동 기구들과 네트워크도 형성했다.
무대책
물론, 노무현 정부는 여전히 아무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오히려 화재 참사 현장에서 살아남은 사람들 28명을 제대로 된 건강 검진도 없이 청주보호소에 다시 구금했고, 2월 23일에는 이들 중 17명을 강제 추방했다!
이 일은 공대위가 이들에 대해 ‘일시 보호 해제’ 신청을 한 바로 다음 날 일어났다. 청주보호소에 있는 한 생존자는 “링거 병을 꽂고 치료받던 사람을 병원에 데려간다며 이 곳으로 데려왔다”고 했다.
또, 몇몇 생존자들은 “지금도 새벽 4시만 되면 불이 나면 어쩌나 하는 생각에 너무 무섭다”고 했다. 2월 26일에는 사고 이후 의식불명 상태에 있던 부상자 중 황해파 씨가 끝내 숨졌다.
우리는 이들의 억울한 죽음에 답해 항의 운동을 지속하고 더욱 확대해야 한다. 이 운동은 정부의 이주노동자 억압에 반대하는 광범한 단결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두 보여 주고 있다. 이 사안을 둘러싼 각 지역의 공동전선에는 NGO, 종교단체들부터 민주노총 소속 노조들, 급진좌파들까지 다양한 세력들이 참가하고 있고 매우 진지하게 협력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애초 예정됐던 유가족의 집회 참가가 무산된 것은 아쉽다. 유가족들은 한국 정부의 무대책에 분노하며 모두 상경할 의지를 보였지만, 중국 대사관까지 동원한 한국 정부의 엄청난 회유와 압력에 밀려 돌연 상경을 취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여수 공대위 공동대표인 이철승 목사가 “국무총리를 만나러 유가족들이 상경할 것이 아니라 여수로 불러 내려야 한다”며 유가족들의 서울 상경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유감이다. 정부에 항의하는 운동을 먼저 수도에서 크게 건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이런 몇 가지 아쉬운 점들 때문에 여수 참사 항의를 위한 공동행동이 약화돼선 안 된다. 지금은 항의 운동 건설에 더욱 박차를 가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