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이석행 집행부의 임시 당대회 소집 요구는 적절치 않다
〈노동자 연대〉 구독
물론 지난 당대회에서 개방형 경선제가 부결된 것은 아쉬운 일이다. 특히 대선에서 “노동자 정치세력화”를 본격화하려 했던 이석행 집행부는 아쉬움이 클 것이다.
‘민중참여 경선제’로 조합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민주노동당의 외연 확장과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일리 있다.
그러나 이미 당대회에서 대의원들의 민주적 토론을 거쳐 결정된 방침을 금세 뒤집으려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심지어 임시 당대회에서도 통과가 안 되면 당원 총투표를 해서라도 ‘될 때까지 하겠다’는 말도 나도는데, 그리 되면 이석행 집행부가 ‘민중참여 경선제’를 추진하는 진의가 의심받을 수도 있다.
설령 이석행 집행부의 밀어붙이기가 성공해 임시 당대회에서 ‘민중참여 경선제’가 통과되더라도 그것은 상처뿐인 영광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상대방을 전혀 설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치적 승리도 아니다. 그 과정에서 당은 심각한 갈등과 대립, 반목에 휩싸일 것이고, 무리한 추진으로 민주노총의 대의명분도 훼손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방형 경선제를 지지했던 ‘다함께’도 이런 방식에는 동의할 수가 없다.
이석행 집행부가 대선에서 능동적인 구실을 하고자 한다면 더 넓은 그림을 볼 필요가 있다.
최근 열우당 와해에서 비롯한 정치 공백을 메울 대안으로 진보진영 선거연합이 의제에 올랐다. 특히 한미FTA 반대 운동의 성장은 민주노동당이 진보진영 선거연합을 주도할 수 있는 좋은 토양이 되고 있다.
민주노총의 대선 개입 구상은 이 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즉, 한미FTA 반대 운동을 조합원들 속에서 능동적으로 건설하면서 이 운동의 정치적 표현체 구실을 할 진보진영 선거연합이라는 대안을 조합원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이것이 “노동자 정치세력화”와 민주노동당의 성장·발전을 도모하는 더 효과적인 방안일 것이다.
또, 민주노총의 강력한 영향력으로 진보진영 단일후보 마련 과정에서 좀더 친노동계급적 후보가 선정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선 전략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