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징계 위협을 받고 있다
〈노동자 연대〉 구독
학생들이 징계 위협을 받고 있다
김태훈
김대중 정부는
그러나
국립대학의 대표격인 서울대에 본격적인 구조조정이 시작된 것은 1998년이었다.
시장 개혁의 결과
결과는 참혹했다. 시장 개혁은 기초 학문을 파괴했다. BK21 지원금의 90퍼센트가 이공계에 집중됐다. 인문계는 아예 수혜 대상에서 배제됐다.
정부는
교육부와 서울대학교는 모집단위 광역화를
그러나 학교측은 학생들이 인기 학과에 몰릴 것을 알면서도 교수와 기자재 확충, 강의실 증축 등의 재원 마련을 하지 않았다. 성적순으로 전공 인원을 제한했다. 지난해 서울대 총학생회장 장종오 씨는 교육부의 모집단위 광역화 정책을 이렇게 비판했다.
시장 개혁 이후 교육의 질은 도리어 떨어졌다. 서울대 전임 교원 수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10명이 줄었다. 반면에 같은 기간 학생 정원은 12.7퍼센트 늘어났다. 그 결과, 교수 1인당 학생 비율이 21.9명으로 10년 전의 20.8명보다 오히려 늘었다.
이런 판국에 서울대는 등록금을 계속 인상했다. 올해 신입생 등록금은 12.5퍼센트가 올라, 이공계 등록금은 2백만 원에 육박한다. 계절학기 등록금은 60∼1백90퍼센트까지 치솟았다. 내년부터는 등록금 책정이 아예 자율화된다.
저항
3월 28일, 학생들은
학생들이 점거하는 도중 우연히 발견한 문서에는 서울대 총장 이기준의 비리가 낱낱이 적혀 있었다. 이기준은 한 해 판공비를 무려 4억5천만 원이나 썼다. 심지어 이발비와 승용차 인테리어 꾸미는 데도 학교 돈을 사용했다. 명절 때마다 정부 관료들에게 선물을 보낸 사실도 밝혀졌다. 그 가운데에는 국가정보원장도 포함돼 있었다. 이기준은 LG 계열사 사외이사로 일하면서 연구비 1억4천만 원을 받고도 공개하지 않았다. 학생들은
그러나 학교측은 곧바로 보복에 나섰다. 학생들이 시장 개혁에 저항하지 못하게 하려면 본보기가 필요했다. 학교측은 총학생회 간부 4명을 징계했다. 징계 철회를 요구하며 2차 점거에 참여한 2백여 명은 형사 고발됐다. 반면에 이기준은 학생들이 여름 농활을 떠나는 분위기를 틈타, 특별 채용 형식으로 평교수로 복귀했다.
시장 개혁에 대한 서울대 학생들의 불만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대학본부 교육정책 불신임 투표에 1만 79명이 참여했다. 96퍼센트가 불신임에 표를 던졌다. 비상학생총회가 성사된 것도 6년 만의 일이다. 징계 철회를 요구하는 서명 운동에 1만 1천1백54명이 동참했다. 사범대 신입생들은 집단 휴학원을 제출하고 전공 수업 참석을 거부했다.
징계 문제에 대한 현 대학 본부의 태도가 워낙 강경하다 보니, 상당수 학생들은 차기 총장에 내정된 정운찬 교수에게 기대를 걸기도 한다. 정운찬이 민교협 소속이라 보니 그가 적어도 신자유주의자는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꽤 퍼져 있다.
그러나 정운찬은
정부는 그 동안 시장 개혁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과대별로 시차를 두고 야금야금 구조조정을 시행했다. 모집단위 광역화는 5년여에 걸쳐 자연대, 인문대, 나머지 단과대 순으로 도입됐다.
따라서 시장 개혁에 반대하는 투쟁이 개별 단과대 투쟁으로 파편화해서는 곤란하다. 예컨대, 사범대 학생들의 투쟁에 인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