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의 표적이 된 알리안츠생명 노동자들
〈노동자 연대〉 구독
알리안츠생명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이명박의 노동정책이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조합원들은 1월 23일 파업에 들어갈 때만 해도 사측이 일방적으로 시행한 성과급제를 철회해 파업이 곧 끝날 것으로 기대했다. 조합원들이 파업 대오를 강고하게 유지하고, 지점장 2백여 명이 노조에 가입하면서 사측을 위협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측은 조합원들을 회유·협박하면서 대화에 나서지 않았다. 이에 노조는 60여 일간의 지방 거점 투쟁을 접고 3월 24일부터 파업 조합원 전원이 상경해 천막을 치고 노숙을 하며 여의도 본사 압박 투쟁을 하고 있다.
최근 노동부 장관 이영희가 이명박에게 이런 상황을 보고하면서 이 파업은 사회적 주목을 받았다. 이영희는 “지점장들은 노동조합 가입 대상이 아니다” 라며 파업을 불법으로 몰았고, 이명박은 “[지점장들을] 설득시켜서 돌아오도록 해야 한다” 하고 말했다.
조합원들은 잠시 들뜨기도 했다.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강경 대응’이 아니라 ‘설득’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곧 노동부 관계자는 “대통령 발언의 취지를 착각한 것”이라고 밝혔다. 사측은 바로 지점장 대량해고를 통보해 이명박의 ‘설득’이 무엇을 뜻하는지 보여 줬다.
이제 사측과 정부 모두 쉽게 물러서지 않을 듯하다. 이명박은 1980년대 미국의 레이건과 영국의 대처가 대량해고로 노동자 파업을 무력화한 사례를 집중 연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노조도 강력한 투쟁을 펼쳐야 한다. 단지 대오를 유지하며 시민 선전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본사 점거 등 더 적극적인 투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이명박과 노동부까지 나선 이상 사무금융연맹과 민주노총의 연대가 더욱 절실하다. 노조의 단호한 투쟁과 강력한 연대가 결합돼야 사측과 이명박의 공격을 막아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