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생각한다 ─ 6ㆍ10 이후의 과제:
이명박 퇴진을 향해 힘을 결집하자
〈노동자 연대〉 구독
서울에만 70만 명, 전국에서 1백만 명이 모인 6월 10일은 이번 촛불 항쟁에서 또 하나의 분수령이었다. 심지어 해외 9개국 18개 도시에서도 촛불이 켜졌다.
6월 10일 청와대로 향하는 길목들을 모두
쥐새끼
3개월 전만 해도 이명박의 별명은
온갖 야비한 꼼수에 도가 튼 이명박은 6월 10일 촛불 반대 시위에 한나라당 당원들과 우익 지지자들을 버스까지 대절해 불러모았지만 고작 5천 명에 그쳤다. 1백만 명 대 5천 명이라는 극명한 대비는 이명박의 초라한 처지만 드러냈다.
이명박은 또,
이명박은 계엄 전 단계라는 갑호비상령을 발동해 전국의 모든 전
물이 끓다가 1백 도를 넘으면 액체에서 기체로 질적인 전환을 하듯이, 촛불 항쟁은 6월 10일 1백만 명이 모이면서 이제 본격적으로 이명박 정부 퇴진 투쟁으로 성큼 전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명박의 귀가 막힌 이유
국민의 80퍼센트 이상이 재협상을 요구하고 무려 1백만 명이 거리로 나서 정권 퇴진을 외칠 정도인데도 왜 이명박은 부시 정부와 한 목소리로 한사코 재협상조차 거부하고 있는가?
이명박이 이처럼 귀를 시멘트로 막아 놓은 것처럼 행동하는 이유는 그가 진정으로 대변하는 게 평범한 국민이 아니라 소수 재벌과 강부자들이기 때문이다.
기업, 언론, 대학 등을 소유
어차피 고급 한우를 먹으면 되는 대기업 소유주와 최고경영자들
재벌
하지만 광우병 위험 쇠고기 문제를 놓고 1999년 10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2003년 5월 캐나다와 미국 사이에, 같은 해 12월 미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무역 분쟁과 비슷한 무역 분쟁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이 이명박이 우려하는 소위
그래서 투쟁 수위가 어지간해서는 이명박은 물러서지 않으려 하며 고작
이명박의 고유가 대책도 정유 재벌들의 주머니는 전혀 건들지 않으면서 서민의 오른쪽 주머니에서 뺀 돈을 왼쪽 주머니에 넣어 주는 것에 불과했다. 이어지는 통신비
그러나 재협상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어느 정부든 정치 위기가 심각해질 대로 심각해져 완전히 겉잡을 수 없어질 때까지도 내놓지 못할 양보 조처는 없다.
그러므로 재협상을 얻어내려면 지금보다도 투쟁의 수위가 더 높아져야 할 것이다. 20만 명이 참가한 시위에서 정권 퇴진 구호가 나와 권력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고, 지금은 그보다 규모가 훨씬 더 큰 1백만 시위에서 이 문제가 아주 자연스럽게 제기됐다.
정권 퇴진과 “의제 확장”
따라서
광우병으로 불이 붙어서, 이명박의 모든 미친 정책들에 대한 반대로 번지다가, 이 모든 것의 배후인 이명박을 직접 겨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광우병국민대책회의가 대운하, 민영화, 경쟁 교육 등에 대한 반대를 공식 요구로 채택하고,
물론 범계급적인 현 촛불 운동 참가자들 가운데는 단지 쇠고기 문제에만 이해관계가 걸린 세력들이 있다. 예컨대 남호경 전국한우협회장은 〈조선일보〉와 인터뷰해
의회주의적 이해관계 때문에 정권 퇴진 요구를 두려워하는 세력도 있다. 민주당은 가축전염병예방법을 고리로 한나라당과 타협해 국회로 돌아갈 채비를 시작했다. 얼토당토않게도 촛불 운동 참가자 일각에서
최장집 교수도
제도권
촛불 지지 주류 언론의 자유주의적 본질도 드러나고 있다. 며칠 전 밤 9시 MBC TV 뉴스 논평과 11일치 〈경향신문〉 1면 주요 기사 논조는
그러나 정부의 임기를 보장해 주는
한나라당이 과반 의석인 국회가 쇠고기 문제를 넘어선 문제 해결의 통로가 될 수 없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경쟁 교육, 민영화, 한미FTA 등은 바로 노무현과 민주당이 추진을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많은 시민
이명박 퇴진을 둘러싼 운동 내 강온파가 본격적으로 대립하면 이 틈새를 이용해 이명박은 강경파를 고립시켜 탄압하며 통제력을 회복하려 할 수 있다. 조갑제는 이명박에게
그러나 최근에 공공노조의 공공서비스 사유화 반대, 대운하 반대, 유가 인상 반대 등의 요구는 물론 그 밖의 다양한 요구와 쟁점이 제기되면서 운동은 더 확대됐다. 단지 쇠고기 문제만으로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이토록 운동 지속에 의욕을 보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단지 쇠고기 문제를 넘어 요구를 확대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운동의 단결을 보증하는 것이고, 확대된 요구의 성취는 이명박 정부와는 성격이 다른 진정한 진보적 정권이 들어섬으로써만 가능하다.
따라서 지금, 이명박의 미친 정책들에 반대하는 광범한 사회 세력들의 요구와 힘
어떻게 운동을 전진시킬 것인가
하나의 방향으로 힘을 집중시키는 리더십의 필요 자체를 부정하는 태도도 있다.
이명박이 전국의 모든 경찰 병력을 총집결시켜 무자비한 폭력 사용도 서슴지 않으며 운동을 겨냥하고 있는 지금, 재벌
그것은 민주적이고 쌍방향적인 리더십이어야 하고 우리의 피해와 힘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가장 효과적으로 운동을 전진시키는 리더십이어야 한다.
그 리더십은 지금, 재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