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이 볼리비아 항쟁에서 배워야 할 교훈
〈노동자 연대〉 구독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볼리비아는 신자유주의 모델이 될 법한 나라였다. 민영화, 복지 예산 삭감, 노동 유연화 등 이명박이 도입하려는 것과 같은 정책들을 1985년에 살인적 물가 상승을 억제한다는 명목으로 한꺼번에 도입했다.
그 결과는 재앙이었다. 민영화 과정에서 대량 해고가 발생했다. 토지는 대지주의 수중으로 집중됐고 농민은 자기 토지를 잃고 떠돌기 시작했다. 대중의 생활수준은 급격하게 하락했다. 옛 독재 정부 출신 대통령은 저항하는 사람들을 무자비하게 탄압했다.
그러나 이런
볼리비아 정부가 코차밤바 주
분노한 지역 주민들, 다양한 시민단체와 조직 노동자 들이 힘을 모았다. 그들은
코차밤바 투쟁은 2003년과 2005년에 반복될 투쟁 패턴
민중의회
2003년 우파 정부를 몰아내는 투쟁이 일어났다. 이 운동의 직접적 원인은 볼리비아 천연가스를 미국과 멕시코에 수출한다는 정부 계획이었다. 이 과정에 석유 다국적기업들이 개입했기 때문에 사실상 천연자원 추가 민영화의 전초전이나 다름없었다. 대중은 이렇게 생각했다.
당시 대통령 산체스 드 로사다는 이 정당한 의문에 잔인한 폭력 진압으로 답했다. 2003년 9월 19일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해 3명이 사망했다.
이제 대중의 분노가 폭발했고 코차밤바 주
수도 라파스에서는
시민들과 농민단체는 도로를 점거하기 시작했다. 화물운송 노동자들도 파업에 들어가 물류를 마비시켰다. 볼리비아 전략 산업 중 하나인 광업에서는 전투적인 볼리비아노총
천연가스 수출 반대가 투쟁의 초점이었지만, 사람들은 투쟁 속에서 급진화했고 다양한 요구를 내놓았다. 민중의회는 투쟁에 참가한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고 볼리비아를 공정한 사회로 만드는 데 필요한 공통 요구를 작성했다.
물
이것을 쟁취하려면 먼저 1980년대 시장주의
반격
민중은 로사다를 몰아냈다. 물론 초기에는 부통령 카를로스 메사가 살아남았고 헌법에 따라 그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메사가 갑자기 대통령과 거리를 뒀고, 헌법 질서를 존중해야 한다는 중간계급 지식인과 일부 운동 지도자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민중의회는 부패
카를로스 메사는 민영화 중단, 재국유화, 복지 확대를 약속했고, 농민에게는 토지 분배를 약속했다. 메사는
그러나 돌아온 것은 거짓말과 배신뿐이었다. 메사는 약속을 모두 어겼다. 국내외 기업인과 대지주 들의 이익에 봉사해 온 인물이 이제 와서 개과천선할 리 없었다. 오히려 천연자원과 부를 독점해 온 산타크루스의 우파들과 손을 잡고 인간다운 삶을 원하는 압도 다수 볼리비아인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만약 이 순간에 사람들이 다시 뭉쳐서 반격하지 않았다면, 다시 한 번 공식 정치의 영역을 뛰어넘어 시위와 파업으로 정부를 꺼꾸러뜨리지 않았다면, 옛 독재자가 폭압적으로 시장주의 정책을 추진했던 1980년대의 비극이 되풀이됐을 것이다.
2005년 5~6월 투쟁은 볼리비아 민중 항쟁의 정점이었다. 민중의회가 훨씬 더 큰 규모로 등장했다. 6월 8일, 항쟁의 심장부인 엘알토에서 최초로 전국적 민중의회가 열렸다. 당시 민중의회는 사실상 대안 정부의 구실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전국 방방곡곡 투쟁이 없는 곳이 없었고, 기존 국가 기구들은 무기력해졌다. 평범한 사병과 말단 경찰 들은 자기 부모형제에게 총부리를 겨눌 수 없었다. 결국 메사는 물러나야 했다.
아쉽게도 민중의회는 새로운 사회의 대안 정부로 발전하지 못했다. 대신에 민중은 진보 대통령 후보인 에보 모랄레스에게 기회를 줬다.
모랄레스 당선 이후 볼리비아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모랄레스 정부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이런 조처들을 도입하는 것을 보면, 돈이 없어 복지 확충을 못한다고 투덜거리는 한국 정부와 기업주들이 얼마나 탐욕스럽고 뻔뻔한 거짓말쟁이들인지 깨닫게 된다.
그러나 볼리비아에는 여전히 이런 변화에 반대하고 옛날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세력들이 남아 있다. 고위 국가 관료
돌이켜보면, 2003년 10월과 2005년 6월 평범한 노동자와 서민들을 대변하는 기구인 민중의회가 구성되고 잠깐 동안 노동자
그런 사회는 오늘 서울광장에서 촛불을 들고 광우병 쇠고기 수입
볼리비아 민중 항쟁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