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는 ‘핵무기 없는 세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노동자 연대〉 구독
지난달 24일 UN 안보리가 핵 감축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자, 올해 초 오바마가 선언한
왜 갑자기 미국의 태도가 변했는가? 이는 미국의 핵 통제력에 매우 심각한 균열이 생겼다는 점과 관련돼 있다.
그동안 미국은 핵 확산을 통제하겠다는 명분으로 핵확산방지조약
물론 말로는 기존 핵보유국이 핵 감축을 추진한다고 했지만, 이를 이행하지 않아도 제재할 수단은 없다. 오히려 냉전 동안 기존 핵보유국들 간 핵 경쟁은 더욱 심각해져 최대 7만 기의 핵무기를 양산했다.
핵에 관한 이와 같은 강대국들의 위선은 다른 나라들이 핵 독점을 문제 삼으며 핵무장을 강화할 명분만 제공했다. 그 결과 이미 1990년대에 기존의 공식적 핵보유국 외에도 10여 나라들이 핵을 보유할 가능성이 점쳐졌다. 그리고 이 중 인도와 파키스탄, 북한 등은 실제 핵무기를 보유하게 됐다.
미국 핵 통제력의 진실
이런 상황에서 부시 정부가 노골적으로 핵 패권을 천명한 것은 핵 통제력 위기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부시 정부 말기에는 역대 정부에서 위선적인 미국의 핵 정책을 실행에 옮긴 헨리 키신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등 미국의 군사안보 전략가들조차 부시의 핵 정책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들과 오바마 정부의 구상은 누더기가 된 NPT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적으로 두 가지 정책을 추진하려 한다. 첫째는 미국이 핵 감축에 모범을 보이는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NPT 체제의 정당성을 살리는 것이다. 둘째는 이란과 북한 등 NPT를 위반한 나라들을 자동으로 제재할 수 있도록 NPT를 개정하는 것이다.
지난달 오바마가 UN에서 핵 감축 결의안 통과에 앞장선 것은 내년 5월 NPT 평가회의를 염두에 둔 정당성 확보 작업이다. 최근 오바마가 동유럽 MD를 철회한 것도 러시아를 핵 감축 협상에 끌어들이려는 목적이 컸다.
이번 동유럽 MD 철회는 지지부진하던 러시아와의 핵 감축 협상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여전히
이미 냉전 말기부터 미국은 군비 경쟁 부담을 덜기 위해 러시아와의 전략무기감축협정
이후 후속 협상들은 모두 미국의 탄도미사일협정
지난 7월 미
7만 기든 3만 기든 핵은 핵이다
한편 NPT 위반국을 자동으로 제재하겠다는 것은 UN의 제재 결의 절차를 거치는 것을 간소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껏 그랬듯이 제재는 평범한 주민들만 고통에 빠뜨릴 뿐, 핵 비확산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오히려 이런 압박은 부시 정부 때 북한이 그랬듯이
NPT 개정 문제는 단지 이란과 북한뿐 아니라 이스라엘과 인도, 파키스탄 등 NPT에 가입하지 않은 미국의 동맹들과도 갈등을 낳을 수 있다. 벌써부터 인도 총리 만모한 싱은

실제 오바마가 상당한 핵 감축을 추진한다고 해도, 미국 제국주의의 수장으로서 그는 미국의 핵 초강대국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핵 통제력을 강화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전임 정부들에서 그랬듯이 이런 위선적 정책은 핵 확산을 막기는커녕 더욱 부추길 것이다.
이런 점에서 NPT 체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