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와 전교조의 노조 활동의 자유를 보장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이명박의 노조 탄압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전국공무원노조
교과부는 최근 시국선언 참가 교사들에 대한 해임 등 중징계를 이어가는 한편, 징계자들의 노조 전임활동을 불허해 활동가들의 싹을 잘라내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거부한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을 검찰에 고발했다.
행안부도 전공노에 대한 설립신고 불허에 이어 집회참가 원천봉쇄, 민주노총 임원선거 투표 불허, 징계 확대 등 탄압을 강화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아예 전공노 법원본부가 전공노와 철도노조 압수수색 정보를 사전에 빼돌렸다며,
정부는 한국노총 산하 공무원노조에게는 아무런 제재를 가하지 않으면서, 유독 전공노와 전교조에게만 매년 개별 조합원들의 조합비 원천징수 동의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노조에 재갈을 물리겠다는 뜻을 노골적으로 보여 준 것이다.
이명박 정부는 또 최근 합법파업을 벌인 철도노조에 대해서도 지도부 구속과 무더기 파면
이에 뒤질세라, 노동부 장관 임태희도 헌법이 보장한 노동기본권조차 무시한 채
이처럼, 정부의 탄압은 어찌나 막무가내인지 거의 발악에 가까울 정도다. 구조조정과 노동자 쥐어짜기를 통해 위기를 돌파하려는 절박감이 작용한 것이다.
특히, 정부와 보수 언론은
그러나 공무원, 교사를 포함한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노동 기본권과 근로조건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정부 정책에 도전하지 않을 수 없다.
지배자들은
무엇보다 이명박은 경제 위기, 재정적자 위기의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기 위해 노동조합이라는 투쟁의 구심을 약화시키려고 안달이다.
노동부가 최근 2010년을
따라서 노동기본권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노조 탄압에 맞선 투쟁이 절실하다. 민주노총은 노조법 개악 반대 투쟁을 확대
전공노와 전교조가 공동 농성으로 연대투쟁을 시작한 것은 반가운 일이다. 이런 단결 시도를 강화하면서 조합원 총회 등을 진행하고, 실질적인 항의 행동을 조직해야 한다. 탄압이 거세기는 하지만, 적당히 피한다고 피해질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저들의 정치 활동 비난에 움츠러들지 말고 적극 논박하고 행동을 조직할 때, 조합원들도 위축되지 않고 투쟁에 나설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