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진보의 미래》:
시장과 제국주의에 투항하는 것은 진보가 아니다
〈노동자 연대〉 구독
《진보의 미래》
노무현의 메모와 녹음 파일을 풀어 만든 이 부실한 책은 유럽과 미국을 각각 진보의 나라, 보수의 나라로 이름 붙여 중학생 정도면 누구나 한 눈에 진보와 보수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자 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애초에 이런 의도를 만족시킬 수 없다. 신자유주의를 수용하는 제3의 길을
노무현은 자신과 김대중 정부가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한 것은 인정하면서도
그러나 규제 완화 등이 일자리나 분배, 복지 문제와 분리돼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난센스다. 한국통신 민영화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민영화는 기업주와 부자 들의 배를 불리면서도 일자리 파괴와 공공요금 인상과 서비스 악화로 분배와 복지에 악영향을 끼친다.
노무현은 신자유주의를 잣대로 진보와 보수를 나누면 복지와 분배가 잘 발달돼 있는 유럽의 제3의 길 정부들도
유럽 몇몇 나라들의 복지와 분배 정책은
노무현은 개혁주의의 약점을 파고들며 자신의 논리를 합리화한다.
그러나 여전히 시장과 경쟁의 논리를 거부하는 급진좌파들이 존재하며, 진보진영은 대체로 시장에 대한 규제
진보의 나라, 보수의 나라
노무현은 자신이 추진한 신자유주의 정책에 일부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면서도 끝내 그 책임은 다른 사람들에게만 떠넘긴다.
대통령의 권한보다
자신을 비판하던 진보진영에 대한 비난도 잊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그는 노동자들의 처지가 악화한 것도 노동자들 탓이라고 비난한다.
자본가에 굴복해 개혁을 포기했을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결국 친노신당인 국민참여당이 들고 나온 노무현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