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2023~24년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옛 억압 기구의 부활

옛 억압 기구의 부활

노동자 투쟁 압력에 직면해 노무현 정부는 과거 정권의 억압 기구들과 방식에 의존하려 한다.

지난 12일 노무현 정부는 중앙 수준에서 뿐 아니라 지역 수준에서도 지방자치체와 공안기관의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전 정부들이 운동을 탄압하는 데 이용한 공안기관대책회의를 부활시키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는 이미 철도 파업 때 공안대책협의회를 가동한 바 있다.

민가협이 조사한 양심수 현황(7월 9일 현재)을 보면, 노무현 정부 집권 후 83명이 국가보안법·집시법·노동악법 등으로 구속됐다.

최근 2주 사이에 이 명단에 5명이 더 추가됐다. 한총련 대의원 3명이 연행됐고, 건국대 학생 2명이 이적 표현물 소지·제작·배포 혐의로 구속됐다. 다양한 표현물을 자유롭게 지니고, 읽고, 그 내용을 주장하는 것은 부르주아 민주주의의 기본 권리다. 이런 기본권 행사조차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위협받을 수 있는 것이 노무현의 ‘참여 민주주의’이다.

한총련 문제에서 노무현 정부는 각별히 위선적이다. 출범 직후 한총련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한 노무현 정부는 지금까지 28명의 수배자를 연행·구속했고 7월에만 9명을 잡아갔다.

법무부 장관 강금실은 한총련 간부들의 수배 해제를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 직후 경찰청은 “11기 한총련 간부 44명에게 소환장을 보내고 한총련 탈퇴를 거부하면 입건 조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바로 그 다음 날 법원은 10기 한총련 대의원 김민범 씨에게 실형 1년을 선고했다.

조승희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