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언어와 여성 차별’ 기사를 읽고 - 성 평등한 언어 만들기는 가치 없는 일일까?
〈노동자 연대〉 구독
〈레프트21〉 35호
나 역시 단지 성 평등한 언어를 만들고 보급하는 것만으로 여성이 차별받는 현실이 개선되리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강력한 투쟁이 현실을 개선하고 사람들의 의식과 언어습관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정진희 씨의 주장에 동의한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결혼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이야기가 나올 것이고, 결혼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 토론하면서 여성이 차별받는 현실에 대해서 환기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가 가진 힘 때문에 보통 사람들의 의식이 변한다기보다는 성 평등한 언어가 사람들의 의식을 환기하는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 차별의 현실을 바꾸기 위한 강력한 투쟁을 강조하는 것과 성 평등한 언어를 보급하는 일은 병행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나는 이런 이유로 정진희 씨의 비판이 다소 과도했다고 생각한다. 언어의 힘에 대한 과도한 의미 부여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성 평등한 언어의 기능에 대해서 과소평가할 필요 또한 없다. 여성 차별의 현실을 바꾸기 위한 대규모 투쟁을 위해서라도 대다수 여성들이 공유할 만한 문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만 평가할 필요는 없다.
성 평등한 언어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 충분한 가치가 있고 현실에서 어느정도 성과를 내고 있음을 먼저 인정하고 그 한계를 다뤘다면 불필요한 오해나 거부감 없이 기사의 진정한 의도가 다가갈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글에 정진희 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