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노동조건에 놓여 있던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조직화가 진보교육감 등장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남지역이 그 진원지가 되고 있다.
전남지역 학교비정규직노조 박금자 위원장은 “조합 가입대상자 6천1백41명 중 현재 2천5백여 명이 가입했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어떻게 이런 조직화가 가능했나요?
7월 진보교육감 취임 이후 자신감을 얻어 저를 포함해 세 명이 8월 방학 기간 내내 전남지역 구석구석을 돌아다녔습니다. 보통 아침 8시부터 움직여서 집에 오면 밤 12시였는데 홍보물도 없이 무작정 찾아다녔습니다. ‘진보교육감이 앞으로 처우개선을 할 것이다. 우리도 노조를 만들어 단체교섭도 하고 뭉쳐야 하지 않겠냐!’ 이 말을 수없이 반복하며 설득했습니다. 조직화 과정에서 각 시군구에 있는 조리사 대표들의 구실도 컸습니다. 이분들은 그동안 억울함이 많이 쌓인 상태라 노조 조직화에 적극적이었습니다.
특히 장만채 교육감의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안’ 발표(9월 6일) 이후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인터넷으로도 가입할 정도입니다. 이게 전국으로 확대돼서 전국 15만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중 적어도 10만 명이 조직돼 비정규직 투쟁에 함께 나섰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전교조와 연대가 중요할 텐데요.
학교비정규직은 조리, 교무, 전산, 실험 보조원 등 다양한 형태이며 한 학교에 3~13명이 있습니다. 전남지역에는 학교들이 22곳의 시군구와 수많은 섬들에 흩어져 있어 일일이 찾아다니기는 힘든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전교조 각 지역 지회장님들에게 전화를 걸어 도움을 부탁하고 선생님들 모임에 찾아다녔습니다. 그 결과 전교조 선생님들이 분회모임을 통해 홍보물과 가입원서를 배포하는 등 열의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전교조는 대의원대회에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 노동조건 향상을 위한 연대 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결의했다.]
앞으로 전망은 어떻습니까?
전체 학교비정규직 중 무기 계약직이 절반이 넘는데 사실 말만 ‘무기’지 언제든지 해고를 당하게 돼 있습니다. 근본적으로는 고용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한 만큼 평등하게 대우받는 정규직화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전에 없던 진보교육감이 있고 노조로 뭉쳐야만 한다는 의식이 성장했습니다. 이 절호의 기회를 살려 경기, 서울 등으로 조직화를 확산시켜 학교비정규직 노조가 빨리 자리를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인터뷰·정리 이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