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화우라늄 무기의 공포가 폭로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서방 열강이 이라크와 발칸반도에서 벌인 전쟁에서 사용한 방사능 무기에 관한 진실이 마침내 드러나기 시작했다.
1999년에 나토가 벌인 발칸 전쟁에 참전했던 병사들 다수가 죽거나 병에 걸리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이 사용한 전차파괴용 열화우라늄탄의 방사능에 노출됐기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세계의 운동가들은 그 동안 열화우라늄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다. 방사능 물질인 우라늄은 화학적으로 유독성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열화우라늄
거짓말과 위선
여러 해 동안 서방 정부와 군 지휘관들은 열화우라늄 무기의 위험성이 없다고 강변해 왔다. 보스니아 주둔 평화유지군은
하지만 발칸반도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는 증거들 때문에 서방 정부들은 말을 바꾸지 않을 수 없었다. 1992∼95년 보스니아 내전에 참전했던 이탈리아 병사 여섯 명이 백혈병을 앓다 죽자 이탈리아 수상 줄라노 아마토는 지난 주에 열화우라늄 무기에 대한 진상 조사를 벌일 것을 요구했다. 또 다른 24명의 이탈리아 병사가 발칸전쟁 증후군과 비슷한 병을 앓고 있다.
벨기에 정부도 발칸반도에 주둔한 부대 출신 병사 5명이 암으로 사망하자 진상조사를 요구했다. 포르투갈도 비슷한 병으로 죽은 병사가 있다고 보고했다. 프랑스는 백혈병 사례를 보고했다. 영국과 미국 정부는 지난 주까지만 해도 암과 열화우라늄 무기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다고 극구 부인했다. 하지만 영국에서도 발칸전쟁 참전 병사인 케빈 루틀랜드가 발칸전쟁 증후군인 쇠약 증세로 고통을 겪고 있음이 드러났다.
발칸 전쟁에 참전했던 나토 군대 중에서 병에 걸린 병사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1991년 걸프전에 참전했던 서방 군대의 상황과 너무나 흡사하다. 수십 명의 병사들이 걸프전증후군으로 고통을 받아 왔는데 그 증세는 무기력증, 체중 감소, 탈모, 신장 질환 등이다. 발칸전쟁에서도 증거들이 계속 드러남에 따라 서방의 몇몇 정부들은 이 문제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그러나 서방 정부들은 자신들의 유독 무기가 이라크나 발칸반도 민중에게 미치고 있는 더 거대한 고통에 대해서는 눈꼽만큼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이라크와 발칸의 민중들은 서방이 떨어뜨린 수백 톤의 열화우라늄 무기로 고통당하고 있다. 미국이 이라크에서 사용한 열화우라늄 무기가 배출한 방사능 물질은 무려 3백 톤에 이른다.
이라크, 보스니아, 코소보의 참혹함
미국은 여론의 압력에 밀려 발칸 전쟁
열화 우라늄탄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에 장기적으로 어떤 파괴적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한다. 미군이 약 85만 발의 열화우라늄탄을 사용했던 이라크에서 드러나고 있는 공포스런 징후가 발칸의 미래를 얼핏 보여줄 뿐이다.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1998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투가 집중됐던 남부 이라크에서 암 발병률과 특히 어린이 백혈병 발병률이 크게 증가했다. 저널리스트인 펠리시티 아르부쓰노트는 남부 이라크를 둘러본 뒤에
그녀는 병원에서 한 시간 전에 태어난 열화우라늄 희생자를 목격한 것을 이렇게 묘사했다.
이탈리아에 있는 베아토 안제리코 재단의 사무총장 장 마리 벵자멩 신부의 증언도 이를 뒷받침한다. 14차에 걸친 현지 조사 결과를 엮어 만든 〈라크: 세상의 종말〉
보스니아도 이미 비슷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이라크와 같은 재난이 닥칠지 모른다는 공포에 젖어 있다. 1995년에 미군이 라몬트 연구소를 폭격한 뒤에 유고슬라비아의 과학자들은 이렇게 보고했다.
유엔의 환경 프로그램은 코소보에 대한 공식 조사를 통해 열화우라늄으로 인한 오염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프로그램의 책임자인 페카 하비스토는
매향리는 열화우라늄탄 훈련장
지난해 5월, 주한 미군이 매향리 훈련장에서 열화우라늄탄을 훈련에 사용했음이 폭로됐다. 당시에 국제세미나 참석차 방한중이었던 반전평화운동가 브라이언 윌슨 씨는 연합 뉴스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열화우라늄탄 의혹이 불거지자 주한 미군은 우라늄탄 보유에 대해
매향리 주민들은
여론이 들끓자 이에 밀린 미군은 지난해 5월 18일 열화우라늄탄 보유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반전평화운동가 브라이언 윌슨 씨 말마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