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심의위원회로는 등록금 인상을 막을 수 없다
〈노동자 연대〉 구독
그런데 근래 한대련은 등록금심의위원회
예컨대 고려대에서는 지난 1월부터 등심위를 통해 학생 대표자들과 학교 당국이 협상을 해 왔다. 그러나 2월 7일 학교 당국은 등록금 2.9퍼센트 인상을 일방적으로 통보했다. 그래서 학생 대표자들은 학교 당국을 규탄하며 등심위에서 퇴장했다.
고려대 당국은 등심위를 요식행위로만 생각했던 것이다. 처음부터
요식행위
우선, 등심위는 어디까지나
게다가 등심위에서 협상에 치중하며 개별 대학의 수입 지출 분석에만 골몰하다 보면, 대학이 기업의 기부금을 받고 주식에 투자해서라도 수익을 거둬야 한다는 논리에 젖어들기 쉽다.
따라서 등심위에 매달리면서 등록금 인하를 위한 대중 투쟁 건설을 등한시한다면, 등록금 문제는 절대 해결될 수 없다. 고려대에서도 등심위 협상에 집중하느라 정작 가장 중요한 투쟁 건설이 지체돼 왔다. 등록금 인하를 위한 학생 투쟁 기구를 아직 결성조차 하지 못한 것이다.
다행히 고려대의 학생 대표자들은 등심위에서 학교 당국의 등록금 인상에 타협하지 않았다. 그리고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공동 투쟁 기구를 결성하려 한다. 이제부터라도 대중적인 투쟁 건설에 힘을 기울인다면, 분명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