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경제 살리기’ 4년:
더 불평등하고 취약해진 한국 자본주의
〈노동자 연대〉 구독
이번 세계적 주가 폭락 사태에서 한국 경제의 불안정성도 급격히 높아지며 취약성을 드러냈다.
한국의 금융 불안정성이 이렇게 높은 이유는 주식시장에 외국인 투자 비중이 높을 뿐 아니라 단기외채
국내 금융 부실도 점점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에 이미 8백1조 원을 넘어섰다. 실질임금은 정체하고 전셋값
또, 저축은행 중 상당수가 프로젝트파이낸싱
한국의 최근 대외의존도
이 때문에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
실제 실물경제 하락 조짐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 주는 부문이 반도체 산업이다. 반도체 가격 폭락으로 원가에도 못 미쳐 만들수록 엄청난 손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처럼 위기가 다가오자 이명박은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부유층과 기업주를 지원하는 데는 혈안이 돼서 달려든 바 있다.
집권하자마자 종합부동산세를 무력화하고 법인세를 깎아 줘 부유층
“공생 발전”
반대로, 해고에 반대하는 쌍용차
이런 이명박이
게다가 지금까지
결국, 지난 4년간 이명박이 추진해 온
이런 때에 진보정당을 비롯한 진보진영이 대중의 삶을 개선시킬 요구를 내세우며 투쟁을 조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우선, 경제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투기자본을 규제하고, 공공요금
비정규직 차별을 폐지하고 정규직화하고, 복지와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 등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대거 창출해야 한다. 이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해 부자 감세를 철회해야 할 뿐 아니라 부유세, 군비 축소 등이 필요하다.
대량실업, 비정규직 증대, 식품안전 위협, 환경파괴, 의료민영화와 같은 공공서비스 후퇴 등으로 대중의 삶을 위협하는 모든 FTA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민주노동당 지도부 등은 참여당과 같은 친자본주의 정당과의 통합에 매달리며 강령을 후퇴시켜, 진보진영의 독자적 대안을 만드는 것은 소홀히 하고 있다.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