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카리아트’와 사회 변혁의 주체
〈노동자 연대〉 구독
조직 노동자 계급이 더는 사회 변혁의 주체가 될 수 없고 불안정
프레카리아트는
이 개념을 본격적으로 체계화한 사람은 영국의 가이 스탠딩 교수다. 그는

이들 주장의 공통점은 프레카리아트가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모든 종류의 이질적이고 다양한 사회세력들을 통칭하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최근 이 쟁점이 급부상한 직접적인 경제적 배경은 2008년 이후 지속되고 있는 대불황이다. 대불황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 특히 청년들의 고용 상황을 끔찍하게 악화시켰다. 스페인, 그리스, 포르투갈의 청년실업률은 50퍼센트에 달한다. 한국에서도 청년실업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돼 있다. 그래서 한국 청년들 사이에서는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된 자신들의 상황을 한탄하는
다른 한편, 급진적인 청년운동이 부상하면서 프레카리아트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졌다. 월스트리트 점거 운동이나 스페인의 광장 점거 운동, 이집트 혁명 등에서 급진적인 청년들의 활약이 돋보였다. 대불황의 초기 국면에서 청년들의 투쟁은 특히나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 왔고 많은 이들에게 자신감과 영감을 줬다.
이렇게
프레카리아트는 계급인가?
그런데
마르크스주의에서 계급은 사회
반면 프레카리아트를 프롤레타리아트와 다른 독립적 계급으로 설명하는 이들이 내세우는 지표는 불안정성이 전부다.
이진경 교수는 프레카리아트가
그리고 불안정성을 중심으로 하는 프레카리아트가 사회 변혁의 새로운 주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불안정성이 불러 온 불안감은 어느 방향으로든 나갈 수 있다. 어떤 이들에게는 자본주의가 만들어 낸 불안이 투쟁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또 다른 이들에게 불안정성은 두려움과 보수성을 낳을 수도 있다. 최근 유럽의 신나치와 극우가 부상한 것은 이와 무관하지 않다.
더구나
차이를 강조하는 것은 연대를 약화시킨다. 생산을 멈춰 자본주의 사회관계의 뿌리를 흔들 수 있는 노동자 계급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게 된다. 그래서 이진경 교수는 프레카리아트들은
이런 주장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일부 청년들이 올해 메이데이에
일단 이것은 총파업이 아니다. 총파업의 핵심은 이윤 체제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소수의 청년들이 시청광장에 텐트를 치고 맥주를 마시는 것은 자본주의 체제의 일상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일 뿐이다.
물론, 불안정 고용이나 실업 상태의 청년들이 잘못된 정부 정책에 맞서 대중적
불안정
그리스에서는 최근 2년간 총파업이 17번 벌어졌고 거리에서는 청년들과 노동자들이 어깨 걸고 투쟁하고 있다. 튀니지와 이집트의 혁명은 청년들의 거리시위와 광장 점거에서 시작됐지만, 결국 조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독재정권들을 권좌에서 끌어내렸다.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청년들의 투쟁은 불안정한 상황에 놓인 프레카리아트들이 저항의 선두에 설 수 있음을 잘 보여 줬다. 레닌의 말처럼 혁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