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역자가 쓴 서평:
《세계를 뒤흔든 1968》 크리스 하먼, 책갈피

영국의 반전 국회의원 조지 갤러웨이는 2003년을 일컬어 “수십 년 동안 일어날 일이 한꺼번에 일어난 해”라고 말했다. 1968년도 바로 그런 해였다. “1648년이나 1789년 또는 1917년처럼 세상이 완전히 뒤집힌 것은 아니었지만 강력하게 뒤흔들렸다.”

미국은 베트남에서 수렁에 빠졌고 국내에서는 흑인 반란에 시달렸다.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 민중의 저항에 직면해 탱크를 동원하지 않으면 안 됐다. 프랑스의 드골은 사상 최대의 총파업에 부딪혀 이웃 독일로 도망쳤다. 독일에서는 미·소 양대 진영에 도전하는 강력한 학생 운동이 분출했다.

영국에서는 대규모 반전 시위들이 잇따랐고, 북아일랜드에서는 영국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는 불길이 거세게 타올랐다.

멕시코 정부는 시위대 수백 명을 학살한 뒤에야 올림픽을 “평화적으로” 치를 수 있었다. 브라질에서는 최초로 군사독재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아르헨티나에서는 대중적 노동자·학생 운동이 시작됐다. 칠레의 에두아르도 프레이 정부는 파업과 토지 점거에 직면해 허우적거렸다.

인도에서는 낙살라이트 운동(반지주 무장투쟁)이 출현했고, 파키스탄에서는 내전이 벌어져 결국 1971년 동파키스탄이 방글라데시로 독립했다. 마오의 “문화혁명”은 중국을 거의 내전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었다. 아랍의 알파타 무장 게릴라들은 카라메에서 처음으로 이스라엘 군대를 격퇴했다.

이런 운동과 투쟁은 1968년 한 해로 끝나지 않았다.

1969년 이탈리아의 “뜨거운 가을”, 1970∼71년 폴란드 노동자 투쟁, 1973년 그리스의 반(反)독재 저항, 1974년 포르투갈 혁명과 영국 히스 정부의 붕괴, 1975년 스페인 파시스트 정권의 몰락 등 1968년의 여진은 1970년대 중반까지도 계속됐다.

《세계를 뒤흔든 1968》은 바로 이 시기의 투쟁과 운동을 다룬다. 그러나 비슷한 주제를 다룬 다른 책들과 이 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정치적 분석과 역사적 통찰의 깊이라고 할 수 있다.

타리크 알리와 수잔 왓킨스의 《1968》(삼인)은 1968년의 사건들을 시간 순으로 묘사한 “정치적 달력”이다. 로널드 프레이저의 《1968년의 목소리》(박종철출판사)는 주로 학생 활동가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담은 구술 기록이다. 조지 카치아피카스의 《신좌파의 상상력》(이후)은 1968년이 “학생들의 해”였음을 강조하며 거기서 태동한 “신좌파”가 “구좌파”와는 다른 역사적 차이와 단절이 있음을 부각시킨다.

다른 세계

크리스 하먼의 이 책은 마르크스주의 역사유물론의 관점에서 당시 사건들을 분석·평가한다. 또, 학생운동과 노동자 운동을 각각의 사회적 비중과 역할에 비추어 전체적으로 조명하며 그 한계와 오류를 지적한다.

제2차세계대전 후 세계 자본주의는 역사상 최장기 호황을 구가했다. 이런 경제적 번영이 이른바 “복지국가”와 “사회적 합의”를 가능케 한 정치적 안정의 토대였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서는 고유의 내적 모순 때문에 경제 성장 자체가 경제 위기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잉여가치의 원천이 노동이라는 사실 때문에 자본주의는 자신의 무덤을 파는 사람들, 즉 노동계급을 결코 떨쳐버릴 수 없다.

전후 호황기에 거대하게 성장한 노동계급은 기성 권위에 도전한 학생들의 뒤를 이어 기존 체제의 근간을 뒤흔들 무덤을 파고 있었다. 그런데 그 무덤에 시체를 넣지 말고 그냥 다시 덮으라고 얘기한 사람들이 있었다. 바로 개량주의 정치 세력이었다.

당시에 각국 공산당과 사회민주주의 정당 들은 자신들이 집권하거나 기성 정치 구조의 일부를 차지하면 세계가 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많은 노동자들의 눈에는 그들이 “현실적 대안”으로 비쳤다.

그러나 그 “현실적 대안”이 오히려 기성 질서를 유지·강화하는 안전판 노릇을 한다는 것이 분명해지자 많은 노동자들의 기대는 환멸로 바뀌었다. 자본가들의 반격이 시작됐을 때 노동자 투쟁이 되살아나지 않은 것은 바로 이 때문이었다.

1968년 이후의 혁명적 격변은 1970년대 중엽 그렇게 잦아들었고, 1970년대 말 이후 운동은 침체와 퇴조를 겪어야 했다. 그리고 그 후퇴기를 끝낸 것은 1990년대 후반, 특히 1999년 시애틀 시위 이후 본격화한 반자본주의 운동이었다.

1968년 이후의 혁명적 격변이 실패하자, 많은 정치 좌파는 “새로운 사회운동”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각종 부문과 흐름 별로 파편화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때 시작된 파편화와 분열은 반자본주의 운동에 와서야 다시 수렴·결합되기 시작했다.

아주 거칠게 요약한 이런 역사적 경험에서 우리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정치적 교훈을 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자본주의의 근본 모순과 내적 한계, 노동계급 중심성, 개량주의 정치세력들의 위력과 한계, 근본적 사회변혁을 지향하면서도 다양한 운동과 투쟁을 연결시킬 수 있는 투사 네트워크인 변혁적 사회주의 조직의 필요성.

물론 이 책은 훨씬 더 많고 풍부한 내용과 교훈을 담고 있다. 이를 온전히 추출·흡수하는 것은 독자들의 몫이다.

하먼은 “1968년에 싸웠던 모든 이들과 오늘날 계속 싸우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을 바치고 싶다고 말한다. “그 때 어떻게 싸웠는지를 이해함으로써 다음 번에 우리가 승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칼 마르크스는 《자본론》(제1권 초판 서문)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고 또 그럼으로써 스스로 사고하고자 하는 독자”를 언급했다. 전형적인 “68세대” 조너선 닐은 “역사는 우리의 머리와 수중에 있는, 내일을 위한 무기”라고 했다.

과거의 혁명적 격변에서 배우고 그럼으로써 내일의 변혁을 승리로 이끌려 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꼭 읽기 바란다. 하먼은 오늘날 반자본주의 운동의 슬로건 ― ”다른 세계가 가능하다” ― 은 “이 책에서 묘사한 모든 투쟁들을 관통하는 정서를 요약하고 있다”고 말한다.

물론 지금 같은 질풍노도의 시기에 선뜻 엄두가 나지 않을 만큼 책이 두꺼운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프랑스·체코슬로바키아·이탈리아·영국 기타 여러 나라 투쟁을 각각 별개의 장(章)에서 서술하고 있으므로 눈에 띄는 장부터 따로따로 읽어도 괜찮다. 다만, 1장부터 3장까지는 당시 상황의 배경 설명에 가까운 내용이므로 건너뛰지 않는 것이 좋겠다.

노파심에서 한 마디만 더.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에도 낯선 외국어에 적응하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그러나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본다는 생각으로, 그림의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본다는 생각으로 읽어 나가면 될 것이다.

주제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