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의 진로 논쟁:
협동조합이 효과적인 대안일 수 있는가
〈노동자 연대〉 구독
협동조합기본법이 2012년 12월 1일 부터 시행되고 1백 일 만에 설립
출자금 규모에 상관없이 5인 이상이면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효과이기도 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0년 내에 협동조합 8천 개 설립을 목표로 협동조합 설립 지원에 적극 나섰다.
진보진영의 일부도 사기업
협동조합은 보통
이것은 자본주의 체제의 일반적 기업 형태인 주식회사와 대조된다. 주식회사는 가능한 비싸게 팔아 이윤을 최대로 늘려 주주들이 나눠 갖는 게 목표다. 반면 협동조합은 일자리 창출, 노동조건 향상, 고용 안정, 지역사회 발전 같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지향한다.
따라서 경제 위기가 심화하는 요즘, 협동조합의 이상이 새롭게 주목받는 것은 이해할 만하다.
노동자
심각한 경제 위기를 맞아 국가가 경제에 개입했지만, 그 목적은 고통받는 보통 사람들을 구제하는 것이 아니라 거대 기업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윤
사실 경쟁이 아니라 협동, 불평등이 아니라 평등, 자본의 독재가 아니라 민주주의, 이윤보다 사람을 우선으로 하는 협동조합의 지향은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반감과 비판을 담고 있다. 그래서 협동조합은 산업 자본주의의 출현과 거의 동시에 등장해 지금까지도 진보적 변화를 열망하는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일 테다.
마르크스도
그러나 마르크스는
재생산
사실 우리는

세계 최초의 협동조합이라는 영국 로치데일 협동조합이 이제는 거대 유통기업과 별 차이가 없다는 비판은 협동조합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새로운 게 아니다.
그래서 협동조합 운동을 대안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협동조합이 직면한 모순을 두고 고민하며 토론을 벌이고 있다.
사실 이런 모순들은 협동조합이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다른 기업들과 경쟁해야만 하는 현실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사업체로서 협동조합이 파산하지 않으려면 다른 기업처럼 시장을 확보하고, 투자를 더 많이 해야만 한다. 결국 협동조합도 더 많은 이윤을 남기거나, 비용을 절감해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압력을 받는다. 이런 압력은 협동조합을 점점 더 일반 기업처럼 움직이도록 만든다.
예를 들어, 유명한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을 살펴보자.
1950년대 5명으로 시작한 몬드라곤은, 2010년 현재 금융
몬드라곤은 다른 기업에 뒤처지지 않으려 주식회사 형태의 자회사를 대거 만들었다. 해외에도 주식회사를 대거 설립해, 2010년까지 러시아
그 결과 몬드라곤에 속한 기업 2백60여 곳 가운데 대략 절반만 협동조합인 상황이다.
즉, 협동조합의 정체성은 약해졌고, 주식회사인 자회사에서 이윤을 얻어야만 유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협동조합이 성장을 우선하게 되면 민주주의도 약화할 수밖에 없다.
몬드라곤에서도 경영진의 권력은 점점 강해졌고, 조합원 총회는 늘 경영진의 투자 계획을 승인하는 것 이상은 할 수가 없게 됐다. 총회 참석률은 갈수록 떨어졌다.
수익이 나지 않는 작업장을 폐쇄해야 하거나, 임금 삭감과 해고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노동자 조합원들의 참여 의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협동조합 운동의 지지자인 박승옥 씨도
그러나 협동조합이 시장경제의 변두리에 머물 수밖에 없다면, 미쳐 날뛰는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제어하는 데는 크게 부족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