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민영화 촉진하는:
WTO 정부조달협정 폐기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박근혜가 프랑스 기업주들에게

정부는 뭐가 그리도 급했던지 박근혜가 입국도 하기 전에 곧바로 국무회의를 열어, 해당 내용을 담은 WTO 정부조달협정 개정 의결서까지 통과시켰다. 최소한의 국회 논의조차 거추장스럽다는 이 정부의 후안무치에 많은 이들이 치를 떠는 이유다.
정부의 이 같은 행보는 곧바로
정부는 이번에 WTO 정부조달협정 개정으로 자본 시장 개방 폭을 대폭 확대했다. 이로써 국내 공공기관 조달 사업 대부분이 개방 대상에 포함됐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근본적 이유는 IMF
예컨대, WTO 일반서비스협정은 자본의 새로운 돈벌이 활로를 열어 줬다. 이 협정은 공공서비스 분야를 투자 상품으로 만들어 시장 경쟁에 내맡기고 민영화하도록 촉진하는 구실을 해 왔다.
이번에 문제가 된 WTO 정부조달협정도 공공 조달 부문에 시장 경쟁을 도입
정부조달 시장은 중앙정부 부처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 사업 분야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져 왔고, 경쟁적으로 자국 기업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려는 국가 간 각축전도 치열해졌다.
선도적
한국 정부도 이미 1994년에 24번째로 WTO 정부조달협정에 가입하고 최근 선도적으로 개정안을 의결하는 등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심지어 한국의 조달시장 개방
한국의 도시철도 부문에 눈독을 들이고 있는 프랑스 기업주들에게 박근혜가
정부는 이 같은 개방
그 이유로 첫째, 정부조달 사업 분야의 시장 개방은 공공부문 민영화를 확대
요컨대,
실제로 한국 정부는 한미FTA 체결 과정에서 이미 WTO 정부조달협정의 개방 수준을 능가하는 시장 접근을 허용했는데, 기재부의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그 내용 중 하나가 바로 사회기반시설에 관한 각종 민간투자제도 활용
시장 개방 확대는 민간위탁
둘째, 시장 개방은 공공부문에 적용되고 있는 각종 규제를 허무는 구실도 할 것이다.
몇 해 전 미국의 좌파 월간지 《먼슬리 리뷰》는
만약 정부가 안전보건 조치 강화 등 각종 노동
따라서 박근혜 정부가 이번 개정안 의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