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주 공장 노동자들:
징계와 현장 통제에 맞서 잔업 거부 투쟁에 나서다
〈노동자 연대〉 구독
현대차 전주공장위원회가 3월 26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쟁의대책위를 구성했다. 본지 122호가 보도했던 것처럼 전주공장위원회는 현대차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에 맞서 특근 거부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동안 벌이던 특근 거부 투쟁에 더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잔업 거부까지 결정한 것이다.
전주공장위원회 서성민 기획부장은 3월 26일 임시대의원대회 결정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현대차 전주 공장에서는 사측의 무차별적인 현장 탄압과 도발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장 조합원들뿐 아니라 현직 대의원들에게도 고소·고발과 손배 등 각종 협박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안전사고 관련해서도 사측은 기존 합의를 위반하고, 심지어 고용노동청 근로감독관의 중재안도 거부하고 관리자들을 동원해 물리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현장 탄압이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주공장위원회는 현장 탄압 분쇄를 위한 임시대의원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안건은 현장 탄압 분쇄대책위 구성으로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대의원들의 수정동의안으로 쟁의행위 결의와 쟁의대책위 구성건이 올라 왔고 만장일치로 통과됐습니다.”
징계와 현장 통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불만과 분노가 투쟁의 수위를 높였다.
최근 전주 공장은 라인 공사 과정에서 벌어진 충돌을 빌미로 대의원을 해고하고, ‘기초 질서 지키기’라는 명분으로 현장 노동자들을 옥죄고 있다.
사측은 노동자들의 안전은 뒷전이다. 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벌어져도 생산라인을 돌리는 데 혈안이 돼, 관리자들을 동원해 노동조합의 대응을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전주 공장 노동자들이 특근 거부뿐 아니라 쟁의를 결의하고 잔업 거부를 결정한 데에는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에 대한 분노가 컸다.
전주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은 현대차 다른 공장 활동가들에게도 자극과 희망을 주고 있다. 현대차 사측이 전주 공장뿐 아니라 울산 등 다른 곳에서도 현장 통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맨손체조
현재 현대차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는 전주 공장만의 문제가 아니다. 울산 공장에서도 ‘기초 질서 지키기’라는 명분으로 현장 통제를 강화하려 한다.
사측은 “조기 퇴근”, “작업 중 인터넷과 신문 읽기” 등을 근절하자며, 조합원들을 ‘죄인’ 취급하고 있다. 심지어 “식사 시간 지키기”라는 미명하에 식사 시간 전에 줄 서는 것을 관리자들이 체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사측은 2조(오후조) 노동자들의 “조기 퇴근”을 문제 삼는다. 그러나 주간연속2교대가 도입돼 노동시간이 줄었지만, 노동자들은 여전히 긴 노동시간 때문에 좀 더 일찍 퇴근하고 싶어 한다. 그래 봐야 자정에 퇴근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 중 인터넷과 신문을 읽는 것은, 고되고 단조로운 노동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한 것이다. 식사 시간도 40분으로 줄었는데, 조금 일찍 줄 서는 것을 문제 삼는 것은 정말이지 치졸한 짓이다.
최근 현대차 사측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겠다며 작업 전에 체조를 하라고 공문을 내려 보냈다. 그러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려면 노동강도를 낮추고 틈틈이 휴식하며 몸을 풀 수 있는 시간을 줘야 한다.’(울산 산재추방운동연합 현미향 사무국장)
그러나 사측이 공장 곳곳에서 UPH(시간당 생산 대수)를 높여 노동강도를 강화하고 노동자들이 작업 중에 누렸던 휴식 시간을 공격하면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겠다는 것은 완전 헛소리다. 체조 공문은 사실상 조기 출근을 노동자들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처럼 15분 일찍 출근해 “간단한 인수인계 사항과 휴가 일정 등을 전달받고, 맨손체조로 몸을 풀게” 만들려 하는 것이다.
울산 공장에서도 ‘기초질서 지키기’뿐 아니라 징계와 해고도 중요한 문제다. 1공장 현직 대의원 엄길정·박성락 동지가 해고됐고, 3공장의 박상호 조합원도 해고됐다.
울산 공장에서도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에 대한 불만과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3월 26일 열린 울산 공장 본관 앞 집회에는 집회 공지 하루 만에 6백여 명이 참가해 활동가들의 반감과 경각심을 보여 줬다.
울산 공장에서도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주공장위원회의 투쟁을 울산 공장으로도 확산해야 한다. 이는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를 좌절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통상임금
아울러, 현재 벌어지고 있는 현장 통제와 징계에 맞선 투쟁은 다른 투쟁과도 연관이 있다.
올해 현대차는 임금협상에서 매우 중요한 전투를 앞두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지원 속에 현대차 부회장 윤여철은 통상임금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윤여철은 이중임금제*도 도입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미 2013년 3월 이후 입사자들의 임금을 삭감해 이중임금제의 초석을 놓았는데, 이중임금제를 통해 노동자들 사이의 분열을 강화해 전체적으로 임금을 삭감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것이다.
2016년 도입하기로 합의한 ‘8/8 근무제’*를 둘러싼 투쟁도 중요한 과제다. 현대차 사측은 통상임금과 8/8 도입에 대한 대비책으로 공장 곳곳에서 시간당 생산 대수를 높이려 하고 있다.
게다가 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은 노동시간 단축이 국회를 통과해도 2년을 유예할 수 있다고 했고, 경총은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노사가 합의하면 8시간을 추가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2016년 8/8 근무 도입도 만만치 않은 쟁점이 될 것이다.
최근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 남발은 이런 전투를 앞두고 노동조합의 예봉을 꺾고 조합원들을 위축시키려는 것이다. 그리고 현장 통제 강화는 그 자체로 노동자들을 더 쥐어짜기 위한 방안이다. 세계경제 위기, 특히 최근 신흥시장의 출렁거림 때문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자동차 시장 속에서 현대차 사측이 취하는 전략이다.
현대차 투사들과 활동가들은 이런 점을 인식하면서 대응해야 한다. 전주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지·연대하고, 현장 통제에 맞서 저항을 조직해 나가야 한다.
* 이 글은 3월 31일자 기사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