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전주 공장 노동자들:
징계와 현장 통제에 맞서 잔업 거부 투쟁에 나서다
〈노동자 연대〉 구독
현대차 전주공장위원회가 3월 26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쟁의대책위를 구성했다. 본지 122호가 보도했던 것처럼 전주공장위원회는 현대차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에 맞서 특근 거부 투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동안 벌이던 특근 거부 투쟁에 더해 쟁의 발생을 결의하고 잔업 거부까지 결정한 것이다.
전주공장위원회 서성민 기획부장은 3월 26일 임시대의원대회 결정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징계와 현장 통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불만과 분노가 투쟁의 수위를 높였다.
최근 전주 공장은 라인 공사 과정에서 벌어진 충돌을 빌미로 대의원을 해고하고,
사측은 노동자들의 안전은 뒷전이다. 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벌어져도 생산라인을 돌리는 데 혈안이 돼, 관리자들을 동원해 노동조합의 대응을 가로막고 있다.
이처럼 전주 공장 노동자들이 특근 거부뿐 아니라 쟁의를 결의하고 잔업 거부를 결정한 데에는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에 대한 분노가 컸다.

전주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은 현대차 다른 공장 활동가들에게도 자극과 희망을 주고 있다. 현대차 사측이 전주 공장뿐 아니라 울산 등 다른 곳에서도 현장 통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맨손체조
현재 현대차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는 전주 공장만의 문제가 아니다. 울산 공장에서도
사측은
사측은 2조
최근 현대차 사측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겠다며 작업 전에 체조를 하라고 공문을 내려 보냈다. 그러나
그러나 사측이 공장 곳곳에서 UPH
울산 공장에서도
울산 공장에서도 사측의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에 대한 불만과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3월 26일 열린 울산 공장 본관 앞 집회에는 집회 공지 하루 만에 6백여 명이 참가해 활동가들의 반감과 경각심을 보여 줬다.
울산 공장에서도 징계와 현장 통제 강화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주공장위원회의 투쟁을 울산 공장으로도 확산해야 한다. 이는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를 좌절시키기 위해 중요하다.
통상임금
아울러, 현재 벌어지고 있는 현장 통제와 징계에 맞선 투쟁은 다른 투쟁과도 연관이 있다.
올해 현대차는 임금협상에서 매우 중요한 전투를 앞두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지원 속에 현대차 부회장 윤여철은 통상임금에서 양보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윤여철은 이중임금제*도 도입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미 2013년 3월 이후 입사자들의 임금을 삭감해 이중임금제의 초석을 놓았는데, 이중임금제를 통해 노동자들 사이의 분열을 강화해 전체적으로 임금을 삭감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한 것이다.
2016년 도입하기로 합의한
게다가 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은 노동시간 단축이 국회를 통과해도 2년을 유예할 수 있다고 했고, 경총은 국회를 통과하더라도 노사가 합의하면 8시간을 추가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2016년 8
최근 사측의 현장 통제 강화와 징계 남발은 이런 전투를 앞두고 노동조합의 예봉을 꺾고 조합원들을 위축시키려는 것이다. 그리고 현장 통제 강화는 그 자체로 노동자들을 더 쥐어짜기 위한 방안이다. 세계경제 위기, 특히 최근 신흥시장의 출렁거림 때문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자동차 시장 속에서 현대차 사측이 취하는 전략이다.
현대차 투사들과 활동가들은 이런 점을 인식하면서 대응해야 한다. 전주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지
* 이 글은 3월 31일자 기사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