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2단계 정상화’ 방안:
공공부문이 선도해 임금·고용 조건 후퇴시키려는 박근혜 정부
〈노동자 연대〉 구독
경제 위기의 대가를 노동계급에게 떠넘기려는 박근혜 정부의 공격이 새해 들어 가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을 우선 타깃으로 삼아 공격하려 한다.
박근혜는 1월 1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이번 2단계 정상화 방안의 핵심은 노동자 간 성과 경쟁을 강화해 임금을 하향평준화하고 퇴출제를 도입하려는 것이다.
정부는 공공부문에서부터 선도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강제하고, 7년 이상 근속자들로 성과연봉제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2년 연속
그리고 이미 여러 공공기관들이 이 같은 공격을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예컨대, 부산교통공사는 올 3월 말까지 3급 이하 전 직원에 대한 개별 성과기여도를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우수
행정자치부는 공무원에 대해서도 유사 중복 기능을 통폐합하고,
한편, 정부는 주되게 주택
정부는 제반 민영화 추진에 도움을 주고자,
지방공기업에 대해서도 기능 통
공공서비스
이 같은 정책들은 공공부문에 시장논리를 도입
이런 공격을 관철하기 위한 정부의 신념은 매우 확고해 보인다. 정부는 2단계 정상화 방안을 밀어붙이기 위해, 1단계 정상화 방안을 이행하지 않은 13개 기관에 대해 올해 임금 동결 방침을 정했다. 서울대병원과 경북대병원 등에선 노조에 단체협약 해지를 통보하기까지 했다.
이들 기관이 올해 6월까지 정상화 계획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내년 임금도 동결시킨다는 계획도 내놨다. 2단계 정상화에도 이 같은 불이익 조처를 강행하려 할 것이다.
박근혜는
공공부문에 대한 공격을 막는 것은 민간부문에 대한 노동시장 구조 개악을 막는 데서도 중요한 문제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노동자들의 단결이 중요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