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총선 비례 경선에서 너무 온건한 후보가 뽑혀서는 안 된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 기사를 읽기 전에
이처럼 박근혜의 통치 스타일은 호전적이다. 자기 계급의 이익을 위해서는 비난도 감수하고 박해와 협박을 서슴지 않는다.
박근혜 정부 아래서 노동운동에 좀 더 좌파적인 지도부가 등장하기 시작한 배경이다. 민주노총을 포함해 전교조, 현대차, 기아차 등 주요 노조들에서 최근 상대적 좌파가 지도부로 선출됐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 반작용으로 정치를 소위
최근 노동
이것은 기업주들을 위해 각종 악법의 제정을 추진하는 새누리당과, 비정규직 노동자와 미취업 청년의 고통스런 삶이 서로 별개라는 말처럼도 들린다. 좌파와 친노 정치인들을 겨냥해
증오
물론 조성주가 서민의 고통에 대한 책임이 새누리당 정권에 전혀 없다고 주장할 만큼 지각이 없는 인물은 아니다. 그의 괴상한 강조는
그렇더라도 조성주의 강조가 옳은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노동법 개악,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대응, 위안부 합의, 민주주의 후퇴 등 박근혜 정부의 악행은 수백만 대중에게 실제로
그러므로
물론 노동
우선, 박근혜 정부 자신이 마치 전쟁에 임하는 것과 같은 자세로 통치 행위들을 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이데올로기가 냉전적 반공주의 같은 것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박근혜 정부의 집권과 통치의 기본 동력은 경제
이런 배경에 박근혜 개인의 유신 친화적 통치 스타일까지 더해져 박근혜 정부는 경쟁국 북한뿐 아니라 국내의 적인 노동자 투쟁에 훨씬 더 냉소적이며 잔혹하게 대한다. 테러방지법 제정이나 지난해 공무원연금 개악 과정에서 보듯이, 박근혜는 법안 내용의 부차적 수정조차 굴욕으로 여긴다. 그를 정부 수장으로 세운 자본가 계급이 노동계급을 더 쥐어짜 수익성 위기에 대처하려 하고, 정부는 이를 수월하게 집행하려고 민주적 권리들을 침해해 가며 저항을 약화시키려 하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
이런 체제 위기와 계급투쟁의 맥락을 무시하고
정부와 기업주들이 노동계급의 요구에 타협적으로 나오게 하려면 오히려 그들이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 힘을 보여 줘야 한다.
의회주의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라도 아래로부터의 투쟁을 강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수단을 거부하는 조성주의
조성주는 지난해 〈주간경향〉과의 인터뷰에서
노동 기반
이런 실용주의에서는 계급 분석이나 계급 의식 발전을 위한 원칙과 계급 투쟁 등은 중요하지 않다. 지난해 7월 그는 〈레디앙〉과의 인터뷰에서도
사실 이런 취급은 얼핏 모순처럼 보이기도 한다. 현실에서
그런데 조성주는
그러나 조성주는 아래로부터의 계급투쟁 전략과 투쟁이 노동
따라서 정의당 비례대표 경선에서 조성주 후보가 다득표를 해 당선권에 들어가는 것은 노동자 투쟁의 활성화에 큰 도움이 안 될 것이다. 투쟁과 거리를 두는 종류의 온건한 개혁주의는 노동자 운동에 큰 영감을 주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진짜 안보?
또한 이 점에서, 정의당 예비내각 김종대 후보가 부각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김종대 후보는 박근혜 정부의
최근의 동아시아 역내 군사적 긴장 고조 국면에서 노동
정당은 강령과 정책, 그 기반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어느 인물을 통해 대변하느냐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이 점에서, 투쟁적 스피커 구실을 할 수 있는 좌파적 노동운동가 출신자가 정의당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돼야 한다. 그것이 노동자 투쟁을 고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