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 :
그럴듯한 미사여구로 포장된 무늬만 “정규직화”
〈노동자 연대〉 구독
문재인 정부가 7월 초에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 가이드라인을, 8월에는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앞두고 최근 〈한겨레〉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 가이드라인의 기본 골자를 보도했다.
내용인즉, 문재인 정부의 임기 후반부인 2020년까지 2단계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1단계로 올 하반기부터 일부 직접고용 기간제 노동자들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박근혜 정부도 했던 것인데, 현 정부는 몇몇 규정을 개선해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을 넓히고 간접고용 비정규직에게는 시중노임단가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2단계로 2020년까지 용역
요컨대, 문재인 정부는
그러나 〈노동자 연대〉가 지적해 왔듯이, 많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열망은 고용 불안은 물론 임금
문제의 핵심은 정부가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데 필요한 비용 부담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데 있다. 〈한겨레〉는 이를 두고

‘최소 비용’과 ‘정규직화’는 모순
둘째, 〈한겨레〉가 보도한 정부 방침을 보면, 무기계약직화 대상조차 제한적이다. 정부는 상시
문재인 정부는
물론 최근 전교조 집행부가
한편, 정부는 간접고용 노동자들을 무기계약직화 하는 것도 임기 후반부인 2020년까지로 늦추려 한다. 용역업체들과의 계약관계를 고려한다는 것이 이유인데, 업체들의 이윤은 고려하면서 정작 노동자들의 긴급한 개선 열망에는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역대 정부들의 행태, 지금의 경기침체 상황 등을 볼 때, 정부는 후반기로 갈수록 노동자들에게 약속한 꾀죄죄한 정책들조차 지키지 않을 수 있다. 간접고용 노동자들의 고용 보장, 처우 개선이 뒤로 밀리고 있는 상황이 우려스러운 이유다.
셋째, 정부가 내놓은 임금
정부는
이렇게 봤을 때,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은 매우 불충분하다. 노동운동은 그 약점을 폭로하고 노동자들의 열망을 성취하기 위한 아래로부터의 투쟁 건설에 강조점을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