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라데이지 호 가족·시민대책위원회’가 수색 재개 등을 요구하면서 벌이고 있는 서명 운동이 목표인 10만 명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12월 현재 9만 8000여 명이 참여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미군 초계기가 발견한 구명벌 추정 영상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과 심해수색장비 투입, 인근 섬 수색, 선사인 폴라리스쉬핑에 대한 엄중 수사 등을 촉구하면서 올해 8월에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가족들은 심해 수색으로 블랙박스를 회수해서 참사 당시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아직도 배가 침몰한 정확한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2018년 예산안 통과 과정에서 스텔라데이지 호 심해수색장비 투입 예산은 제외됐다. “선례가 없다”는 이유였다. 이번 사안을 외면한다면 도대체 그 “선례”는 언제 생길 수 있단 말인가? 국회의원들은 여야 안 가리고 선거용 지역구 예산을 1조 원 넘게 증액해 놓고 보통 사람들의 구조를 위해 시급한 예산을 삭감해버린 것이다. 정부와 국회는 전쟁 무기 사는 국방비도 2009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증액했다.
올해 3월 31일 침몰한 스텔라데이지 호 참사는 제2의 세월호 참사라고 불렸다. 노후한 선박의 침몰, 정부가 흘려보낸 골든타임 등등 스텔라데이지 호는 세월호 참사와 여러모로 닮아 있다. 그리고 정부의 대응도 세월호 참사 때와 닮은 꼴이다.
문재인은 대선 후보 시절에 스텔라데이지 호 문제 해결을 약속했고, 당선 이후에는 ‘새 정부 1호 민원’이라고 홍보했다.
그러나 당선한 다음 날(5월 10일) 수색은 중단됐고 가족들의 만남 요청은 매몰차게 거절됐다. 실종 선원 가족들은 뜨거운 여름 날 외교부 건물 앞에서 장관 면담을 요구하는 농성도 했다. (관련 기사: 스텔라데이지 호 실종자 가족협의회 대표 허경주 씨 인터뷰“국가는 우리에게 가족의 생명을 포기하라고 강요하고 있습니다”)
결국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면담했지만 우루과이 정부에 몇 가지 질문과 요청 사항을 전달했다는 내용 말고는 이렇다 할 진척도 없었다. 노후한 배들을 여러 척 갖고 있는 폴라리스쉬핑의 김완중 사장은 10월 말 국정감사에 나와서 위증을 했지만 돈벌이는 문제 없이 계속하고 있다.
스텔라데이지 호 실종 선원 가족들은 혹시라도 주변 무인도에서 목숨을 부지하고 있을지 모르는 가족을 찾기 위해 뼈가 녹는 애타는 심정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시간이 없다. 문재인 정부는 지금 당장 제대로 된 수색에 예산을 투입하고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