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시킬 때는 한 가족, 경영평가성과급 지급 땐 나 몰라라’:
“우정사업본부와 정부가 직접 나서 우체국시설관리단 문제 해결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기타공공기관이자 우정사업본부의 자회사인 우체국시설관리단 비정규직 노동자들
그래서 전국공공운수노조 우체국시설관리단지부 소속 노동자들은 처우 개선과


노동자들은 투쟁을 통해 처우 개선 요구안의 부분적 성취와 조직 확대 등 성과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우체국시설관리단 사측과 우정사업본부는 식사비 13만 원 지급
그런데 3월 23일 우정사업본부는 직고용된 노동자들
우체국시설관리단지부는 3월 30일 오전 11시 광화문 우체국 앞에서 이를 규탄하고, 문재인 정부와 우정사업본부가 직접 나서서 우체국시설관리단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과 직접 고용을 책임 질 것을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엔 우체국 정규직 공무원들이 중심인 공공운수노조 소속 전국집배노조와 우체국 직접고용 비정규직과 재택위탁집배원들로 구성된 공공운수노조 우편지부에서도 참가해 우체국시설관리단 투쟁에 연대했다.
노동자들은
일 시킬 때만 ‘한 가족’
우체국시설관리단지부 박정석 지부장은
우정사업본부는 우편사업이 적자라고 하면서 노동자들에게 고통 분담을 강요해 왔다. 지금도 인력 부족과 과로로 집배원들은 근무 중 쓰러지고 있다. 우체국시설관리단 노동자들은 우체국에 직접 고용된 기능직 공무원 3분의 1 수준의 저임금을 받고 있다.
그런데 우체국시설관리단은 이렇게 노동자들을 쥐어짜고 남은 돈을 수익금이라는 형태로 우정사업본부에 반납해 오기까지 했다. 이렇게 18년간 반납한 돈이 302억 원이나 된다.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처우 개선 비용 28억 원은
이렇게 우체국시설관리단 노동자들이 차별 받는 이유는, 우정사업본부가 경영효율화와 예산 절감을 위해 과거 우체국 기능직 공무원들이 수행하던 업무를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에 수의계약으로 맡겨 온 것 때문이다.
따라서 간접고용과 비정규직 양산에 책임이 있는 정부와 우정사업본부가 우체국시설관리단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하고 이들을 직접 고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