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대:
새 업체는 ‘외부인 사건’ 빌미로 경비원 고용불안 조장 말라
〈노동자 연대〉 구독
숙명여대 신규 경비 용역업체가 비정규직 노조를 무시하고 고용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4월 1일, 보안업체 삼성에스원의 하청인 유베이스가 숙명여대 새로운 경비 용역업체로 들어왔다. 3월 18일 한 중년 남성이 학내 여자 화장실에서 발각된 일이 계기가 돼서 기존 경비 용역업체가 교체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베이스는 노동조합과는 교섭하지 않고 단체협약도 적용하지 않겠다고 나섰다. 게다가 기존 경비 노동자들을 3개월 수습으로 고용하고 이후 선별 고용하겠다, 현재 70세인 정년을 60세로 줄이고 이후에는 촉탁직
이러한 부당한 근로계약서에 서명하지 않으면 월급도 주지 않겠다며 조합원들을 일대일 면담하며 압박하고 있다. 노조 전임 상근자인 분회장에겐 현장 복귀 명령까지 통보했다. 명백한 노조 탄압이다.
유베이스가 원하는 대로 된다면 경비 노동자의 조건은 크게 나빠질 것이다. 촉탁직은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불안정한 일자리다. 60세를 기준으로 한다면 숙대 경비 노동자 34명 중 2명만 빼고 전부 촉탁직으로 바뀔 것이다.
3개월 수습 후 선별 고용하겠다는 것도 사측의 입맛에 맞는 노동자를 선별하는 과정이 되기에 십상이다. 평균 10~15년 근무한 노동자들에게 임금의 90퍼센트만 지급하는 수습 기간을 두겠다는 것도 부당하다.
고용 불안과 노조 탄압은 앞으로 노동자들이 조건 개선을 위해 투쟁하기도 어렵게 만들 것이다.
이런 공격은 용역업체가 바뀔 때마다 기존 단협과 고용을 승계하지 않아도 되는 간접고용을 악용한 것이다.
구조적 문제
유베이스는 학생들의 불안감을 악용해 이런 공격을 벌이고 있다. 학생들 일각에서도 경비 노동자의
유베이스는 이를 빌미로
물론 학생들이 느낄 불안감은 이해가 간다. 그러나 대학에서 학생들이 겪는 안전 문제의 양상을 고려하면 경비 노동자의 고용과 정년을 공격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 반복되는 안전 문제는 개별 노동자의 태도보단 계속되는 인력 부족과 극심한 노동 강도 탓이 크다.
2016년 숙명여대는 경비 근무체계를 24시간 맞교대 근무에서 주간, 야간, 비번 3교대 근무로 바꿨다. 그래서 노동시간은 줄었지만 인력이 충원되지는 않았다. 그해 정년퇴직한 6명 자리도 채워지지도 않았다. 결국 노동자 한 명이 건물 2~3곳을 관리하는 상황이 됐다.
숙대 당국은 CCTV를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무인경비시스템은 노동강도를 악화시켰다. CCTV 관리자가 수상한 사람을 보면 가까운 건물 경비 노동자에게 연락해 출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무인경비시스템은 결국 사후대처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생 안전 문제에도 대안이 아니다.
불규칙한 3교대 근무와 야간근무도 노동자들의 수면 패턴에 나쁜 영향을 줘서 근무에 집중하기 어렵게 해 왔다. 조득용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숙대분회 분회장은 이렇게 말했다.
그래서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는
얼마 전 안전 대책 간담회에서 학생 대표들은 옳게도 경비 인력 추가 채용과 초소 경비 노동자 상주를 요구했다.
그러나 숙대 당국은 인력 충원은
2100억 원가량 적립금을 쌓아두고
그간의 안전 문제가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비롯한 점을 보면, 경비 노동자의 고용 불안은 학생 안전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조득용 분회장은 대부분 경비 노동자들은 나이에 관계 없이 성실히 숙대를 지켜왔다고 지적한다.
숙대분회 노동자들은 4월 말부터 매일 아침과 점심에 대학 정문에서 항의 팻말 시위를 하고 있다. 고용 불안과 노조 탄압을 끝내기 위해 싸우는 숙대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지지와 연대를 보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