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비정규직:
김용균 사망 후속대책은커녕 임금삭감 강요하는 정부
〈노동자 연대〉 구독
고
2인 1조가 도입됐지만 충원된 노동자는 계약직 신세다. 발전소 현장에 흩날리는 1급 발암물질에 대한 대책도 고작 특급마스크 1장이 전부다.

문재인 정부는 김용균 씨 사고 후속 대책으로 위험의 외주화 금지, 정규직 전환, 고용 안정, 노무비 착복 근절 및 처우 개선 등을 약속했지만 지금까지 지켜진 것이 단 하나도 없다. 문재인 정부가 배신한 다른 개혁 약속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휴지통에 처박혀 있다.
최근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다시 청와대 앞에서
김용균 씨의 어머니인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분노를 성토했다.
김용균 씨 사고 책임자들에 대한 처벌은커녕 재판조차 아직 열리지 않고 있다. 검찰은 지난 8월 3일에서야 발전사 원
정부와 여당은 김용균 씨 사고처럼 산재 사고를 낸 기업과 기업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에도 굼뜨다. 김용균 씨 사망 이래로 중대 재해가 반복되는 현실인데도 말이다.
기후 위기 대처?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여전히 민간하청업체 소속인 것에서 보듯, 김용균 씨 사망의 원인인 발전 민영화
직접고용을 회피하는 이유로 기후 위기 대처를 위해 2034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60기 중 30기를 폐쇄할 계획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위선적인 책임 회피다. 정부가 추진하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그런데도 발전사 원
기후 위기 대처를 위해 석탄화력발전소는 재생가능에너지로 대체해야 하고 정부는 이 과정에서 발전 노동자들의 고용과 처우를 마땅히 보장해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도, 발전 노동자들의 열악한 처우도 모두 그 책임은 자본주의로 이익을 누린 기업주들과 이를 뒷받침해 온 정부에 있다.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정부가 약속한 고 김용균 씨 산재 사망 대책 이행이든 산재를 막기 위해서든 노동자들의 집단적 투쟁이 확대되는 것이 관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