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독자편지
청년희망적금이라더니

생색내기 복지 까다로운 가입 조건, 쥐꼬리만한 지원금. 이게 무슨 ‘청년 희망’? ⓒ출처 국민소통실

지난주 청년희망적금 신청 폭주로 여러 은행 앱들이 마비됐다. 청년희망적금은 비과세 혜택과 정부의 저축장려금 등을 포함해 약 10퍼센트의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는 상품이다. 2년간 매월 최대 50만 원을 납입하면 약 100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지난 한 주만 200만 명이 이 적금을 신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정부가 애초 준비한 예산은 고작 38만 명분이었다. 청년들의 불만이 일자 정부는 올해 연말까지였던 가입 기간을 3월 4일로 단축하며 기간 내 가입한 청년들에게 모두 혜택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가입 대상도 논란이다. 정부는 ‘청년층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만든 상품이라고 광고했지만, 소득이 아예 없는 청년들은 배제됐다.

또, 가입하려면 연소득 3600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4대보험 등을 제하고 계산해 보면 월급 265만 원 이하여야 한다. 그런데 임금근로자 평균임금은 월 273만 원이다. 평균 수준의 임금만 받아도 대상에서 탈락한다.

‘연 10퍼센트 이자 효과’라며 큰 혜택인 양하지만, 사실 2년간 꼬박 월 50만 원을 납입해도 손에 쥐는 돈은 월 4만 원 정도로 용돈벌이 수준도 못 된다. 적은 월급으로 월세, 생활비, 공과금, 교통비 등을 부담하면서 매월 50만 원을 저축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 말이다.

이처럼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조건도 까다롭고 충분한 지원도 못 되는 생색내기 수준의 복지다. 쥐꼬리만한 지원금에도 가입 신청자가 몰리는 것은 한국 청년들의 빈곤한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35.5퍼센트가 은행 등에 부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주거비 마련(38퍼센트), 생활비 마련(26.1퍼센트), 학자금 마련(19.8퍼센트) 등이 그 이유였다. 한국 청년 빈곤층의 빈곤 탈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30.7퍼센트가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대폭 오른 생활 물가는 생활비 중 식비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청년들에게 더한층의 고통을 안겨 주고 있다.

한편, 일부 언론들은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에 외국인이 포함되는 게 불만을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청년들의 현실이 워낙 열악하다 보니 ‘내가 낸 세금을 외국인이 가져간다’는 이간질도 먹힐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청년들의 고통은 이주민 탓이 아니다. 이간질에 반대하며 정부가 기업 지원보다 복지에 더 투자하라고 요구해야 한다.

코로나19로 경제가 더욱 타격을 입으면서 청년들의 취업난은 더 심각해졌다. 최저임금을 받는 아르바이트도 구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집값 폭등으로 덩달아 오른 월세, 치솟는 물가, 정부가 예고한 공과금 인상까지 청년의 삶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