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청년은 하나가 아니다. 계급으로 나뉘어 있다

대선이 끝난 뒤에도 주류 정치권은 청년을 위한다고 저마다 목소리를 높인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청년 할당을 늘리기로 했다.

이 배경에는 MZ세대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있다. 그러나 특정 나이대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균질한 한 덩어리로 보는 것이 적절할까?

소위 MZ로 불리는 청년층은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 출생한 사람들을 일컫는다.

그래서 30년 가까이 차이 나는 사람들을 묶어 놓고 “특정한 공통점이 있는 세대”로 규정하는 것이 맞나 하는 물음이 나온다. 사회적 구성부터 취직 여부, 정치적 경험까지 처해 있는 조건과 경험이 너무 다를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과장님과 고등학생이 같은 청년이라는 꼴이다.

그래서 정작 MZ는 공감 못 하는 MZ세대론이라는 말이 나온다. 세대론의 범람 속에서 이데올로기와 현실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비판의 목소리들도 나온다.

특정한 나이대에 공통의 시대적 경험을 하면서 공유하게 되는 감각이 있겠지만, 세대 내 차이들도 존재한다. 전자가 지배적 특징이 되려면, 커다란 역사적 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MZ세대는 그런 수준의 공동 경험이 없다. ‘이대남·이대녀’도 현실의 청년들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

그런데 경제적 양극화(불평등 심화)의 시대에 청년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노동계급, 서민층 사람들과 소수 부유한 청년의 삶은 판이하게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최근에는 세대론을 실증적 데이터들에 기반해 논박한 《그런 세대는 없다》라는 책도 나왔다.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19~34세 청년 절반 가량은 연간 소득이 2000만 원 이하였다. 그래서 10명 중 4명은 자신이 빈곤하다고 생각했다. 소득이 낮을수록 최소한의 의식주도 충족하기 어렵다.

이런 빈곤한 현실은 금리 우대 상품인 청년희망적금에 무려 290만 명이 몰린 것으로도 잘 드러난다.

ⓒ자료 출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반면, 부잣집 자녀들은 이런 걱정이 없다.

이런 격차를 잘 보여 주는 사례가 ‘윤핵관’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의 아들 장용준(22, 래퍼 노엘)의 개망나니 짓이다.

그는 고가 승용차를 무면허로 몰고, 음주 측정을 요청하는 경찰을 폭행하는 등 사고를 쳤다. 장용준은 2019년에도 음주 운전으로 사고를 낸 후 운전자를 바꿔치기까지 해서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은 바 있다.

죄질이 이처럼 나쁜데도 그는 바로 구속되지 않았다. 구속된 뒤에도 독거실에 배정되는 등 특혜를 누리고 있다. 반면, 대부분 돈도 ‘빽’도 없는 이른바 ‘잡범’들은 과밀하고 열악한 혼거실에 수용된다.

장제원 가족은 사학 재벌 가문이다. 장용준은 3억 원 넘는 벤츠를 자기 돈으로 구매했다며 자랑해 왔다. 그러면서 자신을 비난하는 사람들에게 “재난지원금 받으면 좋아서 공중제비 도는 새끼들”이라고 조롱했다.

윤석열이든 이준석이든 국민의힘은 특권층과 그 기득권을 이어받는 자녀들의 이익을 지키는 자들이다. 자신들이 ‘이대남’의 대변자인 양 행세하지만 말이다.

기업주들의 지지를 받는 주류 정치인들은 세대론이나 이대남·이대녀 담론으로 청년들의 사회적 불만을 엉뚱한 곳으로 낚아채거나 희석시키기 바쁘다.

노동계급 안에선 세대와 성별 차이를 뛰어넘는 단결이 필요하다.

세대 구분은 무용한가?

1987년을 겪은 세대, 1990년대 초반 세대처럼 역사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비슷한 성향을 드러내는 세대는 존재할 수 있다.

과거 월간 〈말〉은 이런 역사적 경험에 따라 세대를 분석한 기사를 실어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예컨대, 엄혹한 시절에 각성해 활동했던 76~79학번은 지사(士)적 분위기가 강했다. 6월 항쟁 등을 겪은 80년대 중반 학번들은 그런 분위기에서 벗어나 더 대중적이고 활발한 운동 방식을 택하면서 정치 문화나 분위기도 여기에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강렬한 역사적 경험들을 함께 한 세대의 특징을 살펴보는 건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세대 내에서도 모두가 동질한 것은 아니었다. 불균등이 있었다.

〈말〉지에 실린 한 80년대 초반 학번 활동가는 이렇게 말했다. “세대 역할론이요?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사람은 달라지는 것이지 한 시대를 같이 살았다고 동질 집단이 되는 것은 아니죠.”

또한 그 세대 내에서 계급적·정치적 분화도 점차 일어났다. 일부는 사업에 뛰어들어 자본가로 성장했고, 또 다른 일부는 민주당으로, 또 일부는 노동운동과 좌파 정당으로 진출했다.

MZ세대론은 이런 정치적·역사적 경험에 기초한 세대 구분이 아니다. 이 세대는 강렬한 역사적 공통의 경험이랄 것이 별로 없다. 출생 시기로 구분하는 정태적 세대론은 역동적 변화 속 추이와 같은 세대 내의 격차와 불균등, 다른 세대와의 관계 등을 설명하는 데 무익하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