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이후 국면, 민주노동당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노동자 연대〉 구독
평화와 통일은 온갖 고난 속에서 진보진영이 추구해 온 것인데도 남북 정상회담 국면에서 스포트라이트는 노무현이 받았다. 미국을 거슬러 북한과 손잡지는 않겠다는 것이 집권 내내 그의 입장이었는데도 말이다.
그동안 유일 평화정당을 자신해 온 민주노동당이 이 국면에서 자칫 가려질 위기를 걱정할 법하다. 과연 어떻게 해야 민주노동당은 진정한 평화와 통일의 정당으로서 대중에게 호소력을 가질 것인가?
민주노동당 지도부가 제안한
이 제안에는 남북관계 문제에서 정부가 계급적으로 중립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다.
물론 회담은 상대가 있는 법이고 둘의 의견이 조율되지만, 회담의 남측 당사자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남한의 정치세력들은 남북관계와 통일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인 게 엄연한 현실이다. 단일한 민족적 이해관계가 존재하며 그것을 집권 세력이 대변하리라는 기대와는 달리, 남한의 집권 세력들은 모두 자기 지지 기반인 계급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략적 타산을 하며 움직여 왔다.
노무현 정부 대북 정책의 근간에는 한미공조 속에서 남북관계를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과 평화는 번영의 조건이라는 생각이 깔려 있다. 또, 경제가 붕괴 일보직전 상태인 북한이 남한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통일을 미루고 북한을 천천히 변화시켜야 한다는 생각도 깔려 있다.
이런 관점이 이번 남북 정상선언에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예컨대 남북 경제협력에서 노무현 정부가 대변한 것은 새로운 투자처와 싼 노동력, 풍부한 자원을 원하는 남한 자본이다. 10월 17일 민주노동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김 교수는 또, 경협에 비해 군비통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는 내 지적에 대해서도
군축
이런 점만 보더라도 민주노동당이 남북 정상회담 국면에서 독자적 목소리를 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남북 정상선언의 긍정적 측면을 지지하면서도 동시에 그 한계를 지적하고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에 대한 민주노동당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래야 민주노동당이 진정한 평화와 통일의 정당으로서 대중에게 변별력 있는 호소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지 않는데도
남북 정상회담은
예컨대
그러나 남북 정권이 평화를 다짐하는 지금만큼 군축을 말하기 좋은 때가 또 언제일까? 군축과 그것을 통한 복지 확충이라는 민주노동당의 대안이 지금만큼 설득력 있어 보일 때가 또 언제일까?
북한에 진출한 기업들은 남한에서와 같은 경영 방식으로 북한 내 기업을 운영하며 채용과 해고의 자율권을 더 원하고 있다. 민주노동당은 이런 기업들에 고용된 북한 노동자들의 조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그들과 남한 노동자들의 연대를 위해 노력해야 하고, 기업의 3통
김근식 교수가 남북경협에는 없다고 시인한
모순
민주노동당은 이번 대선에서
코리아 연방제 자체에 대한 논의는 잠시 뒤로 미루고, 일단 여기서는 왜 이런 관점이 남북 정상선언 평가에는 적용되지 않는지 묻고 싶다.
만약
남북관계
통일
민주노동당은 그동안 노무현 정부와는 다른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비전을 내놓곤 했다. 이를 남북 정상회담을 조명하는 데 적용하고 남북 민중에 필요한 요구를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만 진보정당답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제국주의적 전쟁으로 점철된 시대에 진보는 민족문제에서조차 정부와 기업주들의 몫이 아니기 때문이다.